logo
“한미일 협력 최우선”…미국 국무부, 아태 안보질서 재편 신호
정치

“한미일 협력 최우선”…미국 국무부, 아태 안보질서 재편 신호

김서준 기자
입력

북한과 중국을 둘러싼 안보 위기가 고조되는 가운데, 미국 국무부가 한미일 3국 협력을 우선순위에 두겠다는 입장을 거듭 확인했다. 미그넌 휴스턴 미국 국무부 부대변인은 7월 11일(현지시간) 워싱턴 DC 외신센터에서 개최된 인도·태평양 국가 언론인 간담회에서 동아시아 질서의 재편 과정에서 한미일 3국 공조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휴스턴 부대변인은 “일본과 한국의 관계가 그 어느 때보다 개선된 것을 보아왔으며, 양국이 고통스러운 역사와 씨름해왔다는 것을 안다”고 언급했다. 그는 “공동의 기회와 도전에 대응하기 위해 3국이 계속 협력할 것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를 특히 우선시한다”고 밝혔다. 이 같은 발언은 북핵 등 안보 이슈를 넘어, 중국 견제를 위한 한미일 결속의 중요성을 부각한 것이라는 게 외교가의 해석이다.

실제로 같은 날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는 박윤주 외교부 1차관,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상이 3국 외교장관 회의를 열고 인도·태평양 지역 안정과 평화 수호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휴스턴 부대변인은 “3국이 지역의 안보를 진정으로 증진할 역량을 갖췄다”고도 말했다.

 

북한 핵‧미사일 위협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미국의 대북 정책 방향에 대해서도 언급이 이어졌다. 휴스턴 부대변인은 “미국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항상 헌신했다”며 “지역의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고 한반도 안전과 안정을 지키기 위해 파트너 및 동맹과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을 인도·태평양 평화와 안보, 안전의 핵심축으로 본다”며 한미동맹과 지역 내 한국 역할을 강조했다.

 

동아시아 전략무기 배치 확대, 미·일·한 군사정보 공유 등 기존 협력이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도 힘을 얻고 있다. 전문가들은 “한미일 협의체가 더욱 제도화되며 대북·대중국 압박 수단이 다양화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중국과의 갈등 격화, 북한의 반발 등 역내 파장도 우려된다는 시각도 있다.

 

미국 국무부의 한미일 협력 최우선 방침이 공식화되면서, 한반도 및 인도·태평양 안보 구도 변화가 불가피해졌다. 정부는 앞으로도 3국 정책 공조를 긴밀히 추진하고, 역내 긴장 완화 및 경제협력 방안 모색에 나설 방침이다.

김서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미국국무부#한미일협력#트럼프행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