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가족 생사확인부터 시작”…이재명 대통령, 남북 교류 재개 의지 강조
정치적 경색이 장기화된 남북 관계의 해법을 두고 이재명 대통령이 이산가족 문제를 꺼내 들었다. 3일, 이 대통령은 강화평화전망대를 방문해 북한에 인도적 접근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실질적 교류를 제안했다. 추석 연휴 첫날 접경지 현장에서의 발언은 민감한 시기와 장소적 의미가 맞물리며 정치권과 여론의 이목을 끌고 있다.
이날 현장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남북 이산가족들이 생사 확인이라도 하고 하다못해 편지라도 주고받을 수 있게 해 주는 것이 남북의 정치의 책임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한다”고 말했다. 이어 “북측에도 인도적 차원에서 (이런 조치를) 고려해 줄 수 있으면 좋겠다는 이야기를 꼭 전하고 싶다”고 밝혔다. 이와 같은 언급은 최근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내놓은 ‘END 이니셔티브(Exchange·관계 정상화·비핵화)’ 구상의 첫 실천적 메시지라는 점에서 해석의 무게가 쏠린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규모 관계 정상화 논의에 앞서 정치적 부담이 비교적 작은 인도적 사안, 즉 이산가족의 생사확인과 편지 교환 등 비정치적 절차부터 착수하자고 방향성을 잡았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고령화된 이산가족의 현실을 감안해 조속한 인도적 협력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확산되는 모습이다.
실제로 통일부가 지난 1월 발표한 ‘제4차 남북 이산가족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조사 대상자 5천103명 중 75.5%가 북한 내 가족·친지의 생사를 확인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생존 이산가족의 84%가 70대 이상이다. 이처럼 시간적 여유가 부족한 만큼, 상봉보다는 생사확인·서한교환 등 절차적 진입장벽이 낮은 대안에 대한 실효성 논의가 뒤따른다.
정치권의 반응도 나온다. 여당은 남북간 실질적 신뢰 쌓기를 위한 인도적 교류 확대에 기대를 걸고 있으며, 야권 일각에서는 구체적 로드맵과 실행 방안에 대한 추가 설명을 요구하는 가운데, 국민 여론 역시 진정성 있는 첫걸음의 필요성에 무게를 두는 분위기다. 실향민 단체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늦기 전에 최소한이라도 생사확인이라도”라는 호소가 잇따르고 있다.
이 대통령의 메시지는 이달 말 열릴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와 맞물리며 정치적 파급력을 키우는 모습이다. 일각에서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APEC 정상회의 참석 가능성은 낮다고 평가하지만, 회담 전후로 남북·북미 간 대화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살아나는 흐름이다. 외교가에서는 이 대통령의 이번 제안이 사전 대화 분위기 형성에 일정 부분 기여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정치권은 이번 교류 제안을 기점으로 남북 신뢰구축과 향후 비핵화 협상까지 단계적 진전에 나설 수 있을지 주목한다. 정부는 향후 북측의 공식 반응에 따라 추가 인도적 협력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