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2+2 통상 협의 돌연 취소”…구윤철, 긴급 상황에 일정 조율 착수
한미 양국 정부가 25일 미국 워싱턴DC에서 진행할 예정이던 재무·통상 수장 간 '2+2 통상 협의'를 갑작스럽게 취소했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미국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의 긴급 일정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으며, 양국은 조기 재개를 위한 일정 조율에 착수했다.
기획재정부는 24일 오전 언론 공지를 통해 “미국과 예정됐던 25일 ‘2+2 협상’은 미국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의 긴급한 일정으로 인해 개최하지 못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협의에는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한국 측 대표로 참석 예정이었다. 미국에서는 베선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카운터파트로 나설 계획이었다.

정확한 협의 연기 사유는 알려지지 않았으며, 미국 측은 조속한 시일 내 새 일정을 마련하자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기재부는 “한미 양측은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일정을 잡을 계획”이라고 부연했다.
구윤철 부총리는 이날 인천국제공항에서 미국행 출국을 준비하던 중 취소 통보를 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강영규 기획재정부 대변인은 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나 “미국 측으로부터 오늘 아침에 연락이 왔다”며 “연락받은 지 얼마 되지 않았다”고 현장 상황을 전했다. 미측의 통보는 구 부총리의 출국 예정 약 1시간 전인 오전 9시에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현지에서 미국 측 카운터파트와의 개별 협의를 당초 계획대로 소화하고 있다. 기재부는 “김정관 장관, 여한구 본부장의 미국 측과 협의는 당초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양국의 2+2 통상 협의는 최근 미·중 전략 경쟁, 대외 통상 환경 변화에 따라 한미 경제협력 방안과 현안 조율의 장으로 주목받아왔다. 정가 안팎에서는 갑작스러운 연기가 향후 통상 이슈 조율에 어떤 변수로 작용할지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다.
정부는 “최대한 조속한 시일 내에 한미 재무·통상 수장 협의를 재개할 수 있도록 양측 협의를 이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