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전산망 33.6% 복구”…엔탑스 활용 신속 정상화 기대
전산망 장애 사태가 정부 정보자원관리원의 신속한 복구 작업을 계기로 새 국면을 맞고 있다. 대전 본원 화재 이후 멈췄던 709개 정부 전산망 시스템 중 238개가 정상화되며, 복구율은 33.6%에 이르렀다. 장애 시스템 개수가 애초 발표보다 62개 늘어난 709개로 재정정되면서, 안정화까지 남은 과제가 다시 주목되고 있다. 업계는 이번 사태를 “공공 IT 인프라 복원력 경쟁의 분기점”으로 본다.
11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7개 시스템이 추가 복구돼 전날 자정 기준 복구율 33.6%를 기록했다. 복구 단계별로 1등급 75.0%(40개 중 30개), 2등급 47.1%(68개 중 32개), 3등급 38.7%(261개 중 101개), 4등급 22.1%(340개 중 75개) 등 차이가 뚜렷하다. 등급별 복구율은 재난/보안 중요도 및 장비 손상 수준에 좌우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엔탑스(nTOPS) 등 내부 관리 시스템 정상화로 전체 장애 시스템 계수도 재조정됐다. 기존에는 수작업 통계로 647개로 집계됐으나, 시스템 복원이 진전되면서 정확한 수치가 밝혀졌다. 이는 정부 전산망의 통합 관리체계가 위기 상황에서 복구 추적·우선순위 선정에 실제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점검할 계기가 됐다.
연내 복구 속도를 좌우할 변수는 신규 장비 도입과 센터 이원화다. 정부는 15일 이후 신규 투입 장비가 본격 작동하면서 복구 시스템 수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전체 전소 시스템 최소 96개 중 일부만 대구센터에 이전하고, 나머지는 대전센터에서 복구하기로 계획을 수정했다. 기존 전면 대구 이전 방침에서 센터 분산 방식으로 전환함에 따라 인프라 과부하 위험과 복구 대기 시간 단축 효과가 기대된다.
다만 대규모 시스템 장애 복구 과정에서는 복구방식의 변화, 각 등급별 차등 처리, 백업 데이터 적용 논란 등 추가 기술적·정책적 해소 과제도 대두되고 있다. 미국·유럽 등 주요국에서는 정부 IT 인프라 장애시 다중 백업, 분산 복구 시나리오, AI 기반 장애 탐지 솔루션 도입을 확대하고 있는 점과 대조된다.
이번 사고 이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등 전국 전산센터의 운영 및 위기 대응 표준도 재정비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공공정보화 인프라의 회복탄력성과 재난시 복구거버넌스 개선 여지는 여전히 크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전산망 주요 시스템 복원은 단일 단계가 아니라, 센터 오퍼레이션 전주기의 연계 테스트와 데이터 무결성 검증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정부 복구 모델이 데이터 기반 공공 IT 안전망 재설계의 신호탄이 될지 주시하고 있다. 기술 복구 속도와 함께, 신뢰성·지속가능성, 관련 정책 체계의 업그레이드가 새로운 관건으로 부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