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금리 인하 필요하다”…월러 연준이사, 통화정책 변화 시사에 시장 주목
현지시각 10일, 미국(USA) 댈러스 연방준비은행 주최 행사에서 크리스토퍼 월러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가 7월 기준금리 인하 필요성을 재확인했다. 월러 이사는 “현재의 통화정책이 지나치게 긴축적”이라며 이달 29~30일 예정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 인하를 본격 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언급은 연준 내부의 견해차를 드러내는 가운데, 글로벌 금융시장과 투자자 심리에 일정한 파장을 예고하고 있다.
월러 이사는 “내 입장이 소수 의견임을 인지한다”면서도 “경제적 관점에서 기준금리 인하가 타당함을 설명해왔고, 정책 결정은 정치가 아닌 데이터에 기반한다”고 밝혔다. 최근 월러 이사와 미셸 보먼 연준 부의장은 인플레이션 통제 하 금리 인하 가능성을 내비쳐, FOMC 내에서도 논의가 분분함을 시사했다. 한편, 이날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연준은 금리를 신속하게 낮춰야 한다”고 공개 압박에 나섰으나, 월러 이사는 정치적 영향과 무관함을 재차 강조했다.

전날 공개된 6월 FOMC 의사록에서도 다수 위원들이 신중론을 띠어, 연준 내 정책 방향을 둘러싼 입장차가 이어지고 있다. 월러 이사는 또 “연준의 보유 자산을 줄이는 양적긴축 정책(QT)은 당분간 지속될 수 있다”고 밝혀, 금리 인하와 별도로 자산 축소 의지를 드러냈다. 그는 “만기나 조기 상환된 채권 일부를 계속 대차대조표에서 유출하도록 허용하는 방안을 유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준은 이미 지난 4월 미 국채 월간 상환 한도를 기존 250억 달러에서 50억 달러로 줄이면서 자산 축소 속도를 늦췄다. 월러 이사는 당시 국채 한도 축소 조치에 반대 의견을 냈던 인물로, 단기간 내 QT 정책의 종료 가능성에는 선을 그었다. 양적긴축(QT)은 연준이 만기 채권을 재투자하지 않거나 매각해 시중 유동성을 회수하는 정책으로, 코로나19 이후 시중 유동성을 확대했던 양적완화(QE)와는 대조를 이룬다.
뉴욕타임스, CNBC 등 주요 매체들은 “연준 내 매파-비둘기파 간 이견 부각, 시장도 정책 전환 신호에 예민하다”며, 오는 FOMC 결과가 큰 변곡점이 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전 대통령 등 정치권의 압박과 별개로, 연준 이사진의 독립적 판단이 최종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본다.
월러 이사 등 핵심 인사의 입장 고수와 내부 이견 표출이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키우는 가운데, 오는 7월 연준의 최종 금리 정책과 자산 축소 방향이 글로벌 시장에 미칠 영향에 국제사회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