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교육 방식을 바꾼다”…오픈AI, 챗GPT ‘스터디 모드’ 도입에 글로벌 파장
현지시각 29일, 미국(USA) 오픈AI가 인공지능 챗봇 ‘챗GPT’에 새로운 단계별 학습 지원 기능인 ‘스터디 모드’를 글로벌 도입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오픈AI는 이번 결정을 통해 AI 활용 교육 현장에 실질적 변화를 제시하며, 학생·교사·교육 전문가의 다양한 기대와 우려가 갈리는 상황이다. AI 챗봇 기반 학습 지원 서비스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가운데, 교육 패러다임 변화의 결정적 계기가 될지 주목받고 있다.
‘스터디 모드’는 기존 챗GPT가 답을 직접 제공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학습자가 문제 해결 과정을 단계적으로 익힐 수 있도록 설계됐다. 오픈AI는 무료 사용자뿐 아니라 유료 구독자, 팀 단위 상품 이용자까지 적용 대상을 넓혀, 전 세계 학습자 누구든 별도 로그인 뒤 기능을 체험할 수 있게 했다. 교육용 전용 프로그램인 ‘챗GPT 에듀’에는 수주 내 추가될 예정이다.

현지 교육계와 업계에서는 AI가 현실적으로 학습 효과를 높이고 있는지, 아니면 단순 답변 제공 역할에 그치는지에 대한 우려가 컸으나, 오픈AI 측은 교사·과학자·교육 전문가 등 외부 협업을 바탕으로 ‘스터디 모드’ 설계에 집중했다고 강조했다. 리아 벨스키 오픈AI 교육 부문 부사장은 “챗GPT가 튜터나 가르침 도구 역할을 하게 될 때 학업 성과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정답만 제시할 경우 오히려 학습을 저해할 수 있다”는 입장을 전했다.
실제 ‘스터디 모드’는 학습 목표와 수준에 따라 맞춤형 질문, 실력 점검, 피드백, 개방형 응답 기능을 제공해 심층 이해와 응용력을 끌어올리는 데 초점을 맞췄다. 오픈AI는 “글로벌 대학생 3명 중 1명이 이미 챗GPT를 활용하고 있다”며, 대학생 대상 설계를 강화했다고 밝혔다. 챗봇과의 대화 간 일관성 부족, 복잡 주제 설명 한계, 답변 오류 등은 앞으로 추가 개선될 예정이다.
‘뉴욕타임스’, ‘BBC’ 등 주요 외신도 오픈AI의 새로운 시도를 “AI 기반 교육의 분수령”이라 평가했다. 이들 매체는 맞춤형 학습 기능이 공교육 외 대학, 사교육 시장의 경쟁구도를 다시 쓰게 될 것이라 전망했다. 전문가들은 챗GPT 스터디 모드가 구글(Alphabet), 아마존(Amazon) 등 빅테크의 에듀테크 전략에도 압박을 줄 것으로 봤다.
앞으로 오픈AI는 시각 자료 활용, 목표 설정·진도 추적, 이용자별 데이터 기반 맞춤 지도를 추가하는 등 기능 업그레이드를 예고했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AI가 교육 시장에 구조적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밝히며, 미래 교육환경의 전환을 시사했다. 업계는 AI·이미 교육 소프트웨어 시장의 글로벌 경쟁이 한층 가속될 것으로 전망하는 한편, 초기 단계의 완성도와 신뢰성 검증 필요성도 지적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AI 챗봇이 학습 도구로 정착할지, 글로벌 교육 시스템에 견인차 역할을 할지에 대한 본격 검증이 시작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번 ‘스터디 모드’ 도입이 미래 교육 패러다임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이목이 쏠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