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과 미국 시장 전면 개방”…트럼프 무역합의, 글로벌 공급망 지각변동 예고
2일(현지시각), 미국(USA)과 베트남(Vietnam) 간 사상 첫 상호 관세 인하 및 시장 개방을 골자로 한 무역합의가 전격 타결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트루스소셜을 통해 직접 발표하면서, 세계 경제 질서의 구조적 변화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번 조치는 글로벌 공급망 및 아시아 경제 질서, 특히 중국 환적 통로 통제와 긴밀하게 연결돼 각국 반응을 촉발시키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2일 오후, “베트남의 또 럼 공산당 서기장과 통화 후 방금 무역 합의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이번 합의를 통해 미국은 베트남산 상품의 관세를 기존 46%에서 20%로 절반 이상 낮추고, 제3국산 제품이 베트남을 경유해 미국으로 들어오는 이른바 환적 상품에는 40%의 높은 관세를 적용하기로 했다. 이는 4월 2일 미국 행정부가 57개국·지역에 발표했던 상호관세율 최대치에 비해 대폭 완화된 수치다.

베트남은 이로써 아시아 국가 중 미국과 관세 협상 첫 타결국이 됐으며, 미국 입장에서는 지난달 영국에 이어 두 번째 협상 성사 사례다. 미국 행정부는 상호관세제 유예종료(오는 8일)를 앞두고 각국과 막바지 협상을 진행해 왔으며, 인도·태평양 내 공급망 재편, 중국 환적 차단, 아시아 무역흑자국 통제라는 전략 하에 베트남과의 합의에 집착해왔다.
베트남 정부도 동일 시각 공식 입장문을 내고 “양국 대표단이 합의한 공정하고 균형 잡힌 거래 틀을 양국 정상들이 직접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또 럼 서기장은 이번 합의를 계기로 베트남의 시장경제지위 국제 공인, 첨단기술 수출 규제 완화 등 추가 의제를 트럼프 대통령에게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베트남은 미국산 제품의 무관세 시장 진출을 전면 허용할 것”이라며 조만간 직접 방문도 시사했다.
이번 합의의 주요 배경은 베트남의 대미 무역흑자가 1년 새 40% 넘게 늘어난 현실, 그리고 최근 미국 내 글로벌 공급망 분화의 가속화다. 미국은 4월 2일 57개 국가·지역을 대상으로 최고 46% 관세를 통보하고 9일에는 중국을 제외한 국가에 90일간의 유예를 부여한 만큼, 유예 종료일 직전 베트남과의 타결은 상당히 빠른 협상 성과로 평가된다.
특히 이번 무역협정은 단순한 관세 인하 이상으로, 중국이 베트남을 경유해 미국으로 우회 수출하는 환적상품에 40% 관세를 적용하기로 한 점이 핵심이다. 이는 ‘탈중국화’ 가속화와 공급망 대전환 움직임의 일환이라는 평가다. 여기에 힘입어 베트남은 미국산 SUV·대형엔진 자동차 등 전략 품목의 무관세 수입국이자, 미국 제조업계의 신시장 확보 창구로 부상하게 됐다.
이번 협상에 대해 미국 제조·금융계와 경제학계는 관세 인하의 효과, 환적 통제 부작용, 중장기적 고용·물가 파장 등 다양한 분석을 제기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합의 자체가 미국 무역구조의 대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으며, 백악관은 관련 세부합의문과 이행절차를 곧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뉴욕타임스 등 주요 해외 매체는 “이번 타결이 미·중·아시아-태평양을 관통하는 글로벌 공급망의 새 질서 신호”라고 평가했다. 경제전문가들은 미국이 베트남과의 선도적 무역합의를 지속 확장할 경우, 아시아 전체의 무역·투자 판도에 장기적 균열이 초래될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향후 미국이 주도하는 추가 양자 무역협상과 글로벌 시장 반응, 베트남의 산업 구조 전환 속도가 국제 경제 지형에 어떤 변화를 불러올지 주목된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안을 미국 ‘탈중국’ 경제전략의 분수령으로 보고, 파급효과 관찰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