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미 정상회담 일정 조율”…위성락, 방미해 관세 협상 속도전
정치

“한미 정상회담 일정 조율”…위성락, 방미해 관세 협상 속도전

윤선우 기자
입력

통상·외교 현안을 둘러싼 갈등과 합의의 기로에서 한국과 미국이 다시 맞붙었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6일 미국 방문길에 올라, 한미 정상회담 일정과 관세 협상을 둘러싼 외교전에 나선다.

 

위성락 실장은 이날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워싱턴DC로 출국했다. 그는 8일까지 사흘간 현지에 머물며, 미 정부 고위급 인사들과 양국 현안에 대한 막판 조율에 나설 계획이다. 특히 위 실장은 이 대통령 취임 이후 중동 정세 등의 변수로 미뤄진 한미 정상회담 일정 조율을 주요 과제로 논의할 예정이다.

문제의 초점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설정한 한미 상호관세 유예기간 만료 시점이다. 유예기간이 오는 8일에 만료됨에 따라, 위 실장의 이번 방미는 관세 관련 협상에서 한국 정부 입장을 분명히 전달하고, 추가 부담을 막는 데 방점이 찍혔다. 외교 소식통들도 “위원장급 협의 이전의 실무단 조율이 이번 방미의 핵심”이라고 진단했다.

 

정치권에서는 관세 부과를 둘러싼 양국 입장 차가 여전히 크다고 보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정상회담 성사가 마무리 수순에 접어들었다”면서도 “관세 유예 만료 전 실효적 대안을 모색하는 게 쉽지 않다”고 말했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 역시 국내 제조업 보호 명분을 내세워 ‘상호 이익’ 원칙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위 실장과 미 측 카운터파트 간 추가 논의 가능성도 점쳐진다. 복수의 전문가들은 한미 정상회담과 관세 협상이 동시에 유동적 변수를 안고 있어, 기 싸움이 불가피하다고 관측했다.

 

정치권과 외교가에선 정상회담 일정과 관세 논의 결과에 따라 양국 관계가 한층 중대 국면을 맞을 거란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특히 중동 정세 변화로 인한 국제 경제 환경까지 복합 변수로 얽혀, 향후 한미 간 외교 전략에도 새로운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정부는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의 이번 방미 결과가 한미 정상회담 개최 및 관세 문제 해법 마련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고, 외교적 소통을 계속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윤선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위성락#국가안보실#트럼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