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거래 회복 더뎌”…중국 지방정부 부양책 확대에도 시장 냉각 지속
현지시각 기준 5일, 중국(China) 지방정부가 침체된 부동산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전방위 부양책을 확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8월 거래량이 전년 동기에 비해 여전히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베이징시, 상하이시, 쑤저우시, 창춘시 등 주요 대도시에서 구매 제한 완화와 보조금 지급 등 소비 촉진 정책이 잇따랐으나 시장 반응은 기대에 미치지 못해, 업계와 투자자들 사이에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최근 베이징시가 시 외곽 주택에 대한 구매수 제한을 폐지하고, 주택공적금 제도 개선 및 계약금 인하 등을 통해 매수자의 부담을 낮췄다. 창춘시는 한시적으로 신축 주택 일시불 매입자에게 소비 쿠폰을 제공하고, 랴오닝성, 충칭시, 후난성 등 다른 지역들도 지방정부 주도 박람회 개최에 나서는 등 다양한 부동산 부양책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시장조사업체 중국지수연구원에 따르면 8월 베이징 구축 주택 거래량은 1만3,331채로, 전달 대비 4.28% 증가에 그쳤고,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서는 7.19% 줄었다. 신축주택 거래도 2,733채로 집계돼 전월보다 소폭 늘었지만 전년 동월 대비 12.1% 감소했다.

중국공산당 중앙위 관영매체인 경제일보는 전통 성수기인 9-10월 ‘금구은십’ 기간에 시장 반등 가능성을 기대했다. 반면, 시장 내에서는 거래 둔화, 대형 부동산기업의 재무 부실, 미분양과 공실 증가 등 구조적 어려움이 깊어지고 있다는 경계감도 높아지고 있다.
이와 함께 부동산 경기 침체의 직격탄을 맞은 관리업계에서는 현금 흐름 악화와 미수채권 누적 현상이 두드러진다. 차이신이 인용한 선왕훙위안증권 분석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중국 내 부동산 관리업종 매출채권 충당금 비율이 27.6%로 전년 동기 보다 6.7%포인트 상승했다. 주요 상위 업체들은 충당금 비율이 9.7%에 머물렀지만 차상위권은 43.3%까지 기록해 업계 내부 편차가 커지는 양극화 구조도 뚜렷해졌다.
특히 미수금 회수 지연 및 거래 상대방의 리스크 확대가 이어지면서, 2021년 이후 관리업계 미수채권 규모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둥우증권은 “연체 기간이 길어질수록 현금흐름과 이익 구조에 더 큰 부담으로 작용하며, 이는 업체들의 배당 능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고 평가했다.
블룸버그, 로이터 등 주요 외신도 중국 부동산 시장의 소비 촉진 정책의 실효성에 회의적 시각을 내놓으며 “수요 부진과 구조적 조정의 늪에서 쉽게 벗어나기 어려울 것”이라고 진단했다.
전문가들은 부동산 시장 침체가 중국 경제 전반의 신뢰도 저하와 관리업계 부실 가속화를 낳으며, 중장기적으로 구조개혁 없이는 회복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국제사회는 중국 당국의 추후 대응과 실질적 부양책 효과에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