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화폰 기록 삭제 없었다”…윤석열, 특검 재판서 직접 해명하며 압수수색 논란 반박
비화폰 기록 삭제 의혹과 김건희 여사의 법적 호칭을 둘러싼 논쟁이 법정에서 재점화됐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대통령경호처 비화폰 서버 기록 삭제 지시 혐의로 법정에 출석하며 직접 해명을 내놓았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35부에서 10월 31일 열린 윤석열 전 대통령의 특수공무 집행방해 등 혐의 관련 공판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은 “비화폰 기록 삭제는 이뤄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지난달 첫 출석 이후 한 달여 만의 법정 출석이었다.

이날 증인으로 나온 김성훈 전 대통령경호처 차장도 “비화폰 서버 기록 삭제 지시를 받은 바 없다”고 증언했다. 김 전 차장은 “윤 전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당시 운영 규정에 관해 문의했고, 규정대로 하라고만 했을 뿐 삭제 지시는 없었다”고 말했다. 이어 “비화폰 서버의 기록이 이틀마다 삭제되는지 물었고, 삭제 지시가 아닌 보안조치를 하라는 요청만 있었다”며 “삭제 지시라는 말이 나왔을 때도 저는 보안조치로 정정했다”고 설명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도 직접 법정에 나서 “비화폰을 처음 받고 나서 경호처장에게 통화내역 관리 방식을 질문했을 때, 정권이 바뀔 때 전부 삭제 후 다음 정권으로 이관한다고 들었다”며 “이틀 만에 삭제되는 게 아니며 실제 내역도 남아 있었다. 경호 목적 때문에 기록을 유지하는 기간이 상당하다. 삭제 지시는 한 적 없었다”고 강조했다.
특검팀은 이날 김건희 여사와 김 전 차장이 주고받은 텔레그램 메시지도 증거로 제시했다. 특검은 “김건희 여사가 압수수색 관련해 윤 대통령이 우려한다는 취지로 메시지를 보냈고, 피고인이 압수수색을 저지하려는 인식을 보였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윤석열 전 대통령은 “26년 동안 검찰에 있으면서 청와대 압수수색을 집행해본 적이 없다”며 “여기는 군사보호구역이고, 국군통수권자가 거주하는 곳에 영장 집행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걱정하거나 방해할 이유 자체가 없다”고 반박했다. 아울러 특검이 김건희 여사 호칭을 ‘김건희’로 부른 데 대해 “그만두고 나왔다고 해도 김건희가 뭐냐. 뒤에 여사를 붙여주는 게 맞다”며 거세게 항의했다.
군사보호구역 관련 지시 의혹에 대해 김성훈 전 차장이 “장관 공관도 대통령 관저에 포함돼 있으니 함께 고려해달라”고 언급한 내용도 화제였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국방부 장관 공관 역시 군사보호구역임을 주지시켜주기 위한 차원이었다”고 설명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과 특검팀이 법정에서 강하게 부딪친 이날, 증인과 당사자 모두 ‘비화폰 기록 삭제’ 의혹을 전면 부인하며 법적 공방이 치열해지는 양상을 보였다. 정치권은 이번 재판 결과에 따라 향후 추가 소환과 정국 파장도 예의주시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