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고층 아파트서 치솟은 불기둥”…최소 36명 사망, 279명 실종
홍콩 북부 대단지 고층 아파트에서 대형 화재가 발생해 최소 36명이 숨지고 수백 명이 실종되는 참사가 벌어졌다. 2천가구가 거주하는 대규모 주거시설에서 불이 나면서 피해 규모가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고, 홍콩에서 열릴 예정인 ‘2025 MAMA AWARDS’ 개최 여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홍콩 언론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화재는 26일(현지시간) 오후 2시 52분께 홍콩 신계(뉴테리토리) 북부 타이포 구역의 고층 주거용 아파트 단지 ‘웡 푹 코트(Wang Fuk Court)’에서 발생했다. 이 단지는 약 2천가구, 4천800여 명이 거주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홍콩 행정수반인 존 리 행정장관은 27일 새벽 브리핑에서 “현장의 화재는 기본적으로 통제됐다”며 “화재로 소방관을 포함해 최소 36명이 사망하고, 279명이 실종된 상태”라고 밝혔다. 리 장관은 “현재 우선 업무는 화재 진압과 부상자 구조”라며 “29명이 병원으로 옮겨졌고 이 가운데 7명은 위중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아직 연락이 닿지 않는 주민이 많아 인명 피해는 더 늘어날 수 있는 상황이다. 고층 건물 구조와 복잡한 내부 동선, 짙은 연기 등으로 제때 대피하지 못한 주민이 적지 않은 것으로 당국은 파악하고 있다.
홍콩 소방당국은 화재 현장에 소방차 128대와 구급차 57대를 투입해 진압과 인명 구조 작업을 진행했다. 현장 주변 일대 도로는 긴급 차량 통행을 위해 통제됐고, 인근 주민과 상가 이용객 등은 실내 대피 안내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당국과 현지 언론에 따르면 해당 아파트 단지는 1년 넘게 대규모 보수 공사가 진행 중이었다. 건물 외벽에는 대나무로 만든 비계(공사용 발판)와 공사용 안전망이 넓게 설치돼 있었고, 불이 이 구조물을 타고 상·하층으로 빠르게 번지면서 대형 불기둥이 형성된 것으로 전해졌다. 소방당국은 정확한 발화 지점과 원인을 두고 현장 감식에 나선 상태다.
홍콩 당국은 상황의 심각성을 고려해 26일 오후 6시 22분께 화재 경보 단계를 최고 등급인 5급으로 격상했다. 5급 경보 발령은 2008년 몽콕 나이트클럽 화재 이후 처음이다. 당시 몽콕 화재에서는 4명이 숨지고 55명이 다친 바 있다. 당국은 당시와 이번 사례를 비교하며 고층 밀집 지역의 화재 대응 체계 전반을 점검하겠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숨진 소방관과 희생자 유가족에게 위로의 뜻을 전하면서, 홍콩 당국에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고 실종자 수색에 총력을 기울일 것을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중앙정부는 홍콩 정부와 공조해 부상자 치료 지원과 피해 주민 보호 대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참사는 국내외 대형 행사의 안전 관리 문제에도 파장을 미치고 있다. 홍콩 카이탁 스포츠 파크 내 카이탁 스타디움에서 개최 예정인 ‘2025 MAMA AWARDS(마마 어워즈)’ 일정이 대표적이다. ‘2025 마마 어워즈’는 한국시간 기준 28일과 29일 양일간 열릴 계획이며, 아이들, 엔하이픈, 제로베이스원, 보이넥스트도어, 라이스, 하츠투하츠, 코르티스, 미야오, 아이딧, 킥플립 등 K-팝 아티스트들이 출연 라인업에 이름을 올렸다.
출연진 상당수는 이미 26일 오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홍콩행 비행기에 탑승한 것으로 전해졌다. 마마 어워즈가 열리는 카이탁 스타디움은 홍콩 구룡(카오룽) 카이탁 스포츠 파크에 위치해 있으며, 화재가 발생한 타이포 웡 푹 코트와는 차량으로 약 20킬로미터, 이동 시간 약 18~20분 거리로 떨어져 있다.
현재까지 마마 어워즈 주최 측이나 홍콩 당국은 행사 강행 또는 취소 여부에 대해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다만 홍콩 사회 전반에 충격이 큰 만큼, 홍콩 내 여론과 안전 상황, 구조·수습 작업 경과를 지켜보며 일정 조정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화재가 홍콩과 같은 초고밀 고층 주거지에서의 공사·리모델링 안전 관리 체계를 다시 점검해야 할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특히 외벽 공사에 사용되는 비계 구조물, 피난 통로 확보, 화재 경보 시스템 작동 여부 등이 쟁점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홍콩 경찰과 소방당국은 정확한 화재 원인과 인명 피해 규모를 파악하기 위해 합동 조사에 나선 상태다. 동시에 홍콩 정부는 피해 주민 지원 대책을 마련하고, 유사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고층 건축물 안전 기준과 공사 관리 규정 검토에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