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종묘 경관 위해 개발 제한해야” 69퍼센트…초고층 재개발 허용 22퍼센트 그쳐

이소민 기자
입력

서울 종묘 인근 재개발 방향을 둘러싸고 보존과 개발이 다시 맞붙었다. 세계유산 종묘의 경관을 지킬 것인지, 도심 노후지구 재생을 위해 초고층 빌딩을 허용할 것인지를 두고 여론의 선택이 어디에 서 있는지가 드러났다.

 

여론조사 전문기관들이 공동 수행한 NBS 전국지표조사에 따르면, 서울 종묘 인근 재개발과 관련해 ‘세계유산 종묘의 경관과 가치 보전을 위해 개발을 제한해야 한다’는 응답은 69퍼센트로 집계됐다. 반면 ‘도심 노후지구 재생을 위해 초고층 빌딩 개발을 허용해야 한다’는 응답은 22퍼센트에 그쳤다. 보존을 위한 개발 제한 의견이 초고층 개발 허용을 세 배가량 앞선 셈이다.

서울 종묘 인근 재개발, 개발 제한 의견 우세 (NBS 전국지표조사)
서울 종묘 인근 재개발, 개발 제한 의견 우세 (NBS 전국지표조사)

연령별로는 70세 이상을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개발 제한 필요 의견이 모두 과반을 넘어섰다. 문화재 보존과 도시 경관 관리에 대한 공감대가 세대 전반으로 확산된 양상으로 읽힌다. 다만 고령층에서는 재개발을 통한 주거 환경 개선과 지역 활성화 기대가 맞물리며 찬반이 엇갈린 것으로 해석된다.

 

정치 성향에 따라서는 뚜렷한 온도 차도 포착됐다. 국민의힘 지지층 응답자 220명 가운데 ‘개발 제한이 필요하다’는 의견은 46퍼센트, ‘개발을 허용해야 한다’는 응답은 43퍼센트로 나타나 사실상 경합 구도를 보였다. 보수 성향 핵심 지지층 내부에서도 보존과 개발 사이 정책 방향에 대해 이견이 적지 않은 셈이다. 정치권이 재개발 추진 논의에 착수할 경우,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구체적 수위와 방식에 대한 조율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뒤따른다.

 

이번 NBS 조사는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2025년 11월 24일부터 26일까지 3일간 진행됐다. 국내 통신 3사가 제공한 휴대전화 가상번호 100퍼센트를 활용한 전화면접 방식으로 이뤄졌고, 성·연령·지역별 층화확률추출로 표본을 구성했다. 표본크기는 가중값 적용 후 기준 1천3명이며, 응답률은 16.5퍼센트였다. 총 6천84명과 통화해 그중 1천3명이 응답을 마쳤고 접촉률은 33.4퍼센트였다.

 

표본오차는 2025년 10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를 기준으로 성·연령·지역별 셀가중을 적용했을 때 95퍼센트 신뢰수준에서 ±3.1퍼센트포인트다. 조사는 엠브레인퍼블릭, 케이스탯리서치, 코리아리서치, 한국리서치가 공동 수행했다.

 

서울 종묘 일대 재개발 문제는 문화재 보존과 도심 활성화라는 두 축이 정면으로 부딪히는 사안인 만큼, 향후 서울시와 문화재청 등 관계 기관 논의 과정에서 이번 여론조사 결과가 주요 참고 자료로 활용될 전망이다. 정치권도 도심 재생 공약과 문화유산 보존 원칙 사이에서 현실적인 해법을 찾기 위한 논의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이소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종묘재개발#nbs전국지표조사#국민의힘지지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