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전틱 AI가 마케팅 총괄한다”…LG CNS, CDP 신서비스로 디지털 광고 재편
고객 데이터 플랫폼과 에이전틱 인공지능이 결합한 마케팅 자동화 기술이 디지털 광고 산업의 업무 방식을 바꾸고 있다. LG CNS가 선보인 에이전틱 AI 기반 CDP 서비스는 마케터의 자연어 지시만으로 고객 세분화, 채널 전략 수립, 캠페인 실행을 한 번에 처리해 시장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AI 마케터’의 등장을 디지털 마케팅 경쟁의 분기점으로 보고, 향후 글로벌 시장에서의 확산 속도에 관심을 두는 분위기다.
LG CNS는 마케팅 업무를 인공지능으로 자동 수행하는 CDP(Customer Data Platform) 에이전틱 AI 서비스 클레어보를 출시했다고 19일 밝혔다. 회사는 지난해 자체 CDP를 선보인 데 이어 이번에 에이전틱 AI를 탑재해 고도화한 형태로, 제조·유통·식품 등 다양한 고객사에서 이미 활용 중인 CDP에 자율 판단과 실행 기능을 덧붙였다. LG CNS는 자체 고객사 적용 결과 마케팅 캠페인 실행 시간을 60퍼센트 이상 줄이는 효과를 확인했다고 설명한다.

클레어보의 핵심은 마케터가 일상 언어로 지시를 입력하면, 에이전틱 AI가 데이터 분석부터 타깃 그룹 생성, 캠페인 활성화까지 단계별 프로세스를 스스로 수행하는 구조다. CDP는 웹사이트, 앱, 오프라인 매장 등 다양한 이용자 접점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수집·통합·분석하는 플랫폼으로, 각 고객의 행동과 선호를 기반으로 개인화 마케팅을 구현하는 데 활용된다. LG CNS는 여기에 다수의 AI 에이전트를 결합해 분석, 세분화, 채널 전략 수립 등 CDP의 주요 기능을 모듈 단위로 분리하고, 최상위 에이전틱 AI가 이들을 통합 지휘하는 구조를 적용했다.
특히 이번 기술은 마케터가 여러 화면과 시스템을 오가며 수작업으로 설정하던 기존 CDP 기반 캠페인 구축 방식의 한계를 줄였다. 사용자는 단일 인터페이스에서 AI와 대화하듯 요구 사항을 전달하기만 하면 된다. 예를 들어 “이번 제품은 어떤 고객들에게 반응이 좋을까?”라고 입력할 경우, 에이전틱 AI는 구매 가능성이 높은 잠재 고객을 데이터 기반으로 도출하고, 최근 행동 패턴을 분석해 적합한 마케팅 채널 조합을 제안한다. 앱 사용이 활발한 고객에게는 앱 푸시 알림을, 카카오톡을 통해 구매 전환율이 높은 고객에게는 카카오톡 알림을 활용한 캠페인을 자동 설계하는 방식이다.
마케팅 시장에서는 이 같은 에이전틱 AI 기반 플랫폼의 도입이 인력 구조와 업무 역할 재편으로 이어질 가능성에 관심을 둔다. 데이터 수집과 세분화, 캠페인 셋업처럼 반복적이고 규칙 기반의 업무는 AI에게 이관하고, 마케터는 브랜드 전략과 크리에이티브 기획, 고객 경험 설계 등에 집중하는 방향으로 역할이 이동할 수 있어서다. LG CNS가 밝힌 60퍼센트 수준의 실행 시간 단축 효과가 시장 전반으로 확산될 경우, 대형 광고주뿐 아니라 중견·중소 기업도 적은 인력으로 다수의 개인화 캠페인을 동시에 운영하는 구조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이미 마테크 기업과 클라우드 사업자를 중심으로 AI 기반 CDP 경쟁이 진행 중이다. 북미와 유럽에서는 고객 여정 전체를 통합 관리하는 CDP와 생성형 AI를 결합해 이메일, 앱 메시지, 랜딩 페이지 카피까지 자동 생성·실험하는 서비스가 출시돼 있다. LG CNS의 클레어보는 여기에 에이전틱 AI 개념을 도입해, 개별 기능이 아니라 전체 마케팅 워크플로를 ‘에이전트 묶음’으로 자동 운영하는 방향을 택한 셈이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구조가 다국적 기업의 복수 브랜드, 복수 국가 캠페인을 통합 관리하는 데 유리할 수 있다고 본다.
LG CNS는 연내 글로벌 버전 클레어보도 선보일 계획이다. 국가별 유통사 사이트 데이터를 수집하는 AI 에이전트와 글로벌 시장 트렌드 분석, 경쟁사 동향 파악을 담당하는 AI 에이전트를 고도화해 해외 고객사를 겨냥한다는 전략이다. 각 국가의 고객 행동 특성, 시즌 이슈, 경쟁사 프로모션까지 묶어 분석하는 기능이 구현될 경우, 국내에서 축적한 에이전틱 AI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글로벌 마케팅 운영 플랫폼으로 외연을 넓힐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다만 AI 기반 마케팅 자동화가 확산되기 위해서는 개인정보 보호와 데이터 활용 규제에 대한 정교한 대응도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다. 고객 데이터 수집과 통합 과정에서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규를 충족하고, 알고리즘이 특정 고객 집단에 불리하게 작용하지 않도록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하는 문제가 향후 경쟁력의 핵심 변수가 될 수 있어서다. 특히 국가별로 상이한 데이터 규제가 적용되는 글로벌 시장에서는 데이터 거버넌스와 보안 수준이 도입 기업 선택의 가늠자가 될 가능성이 크다.
심정애 LG CNS CX 데이터사업담당은 에이전틱 AI를 통해 마케터들이 적시에 최적의 마케팅을 실행하고 보다 전략적인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해 기업 고객의 비즈니스 성과 극대화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산업계는 LG CNS의 클레어보가 실제 시장에서 어느 수준의 효율과 매출 성과를 입증할지, 그리고 에이전틱 AI 도입이 국내외 마테크 경쟁 구도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지켜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