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환 책임론 부각되나”…국회 행안위, 오송참사 현장조사 및 유족 간담회
충청북도 청주시 오송 궁평2지하차도 참사의 책임 소재와 재발 방지 대책을 둘러싼 책임 공방이 다시 고조되고 있다. 이날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국회의원들이 사고 현장을 직접 방문하며, 진상규명 작업에 속도가 붙고 있다.
14일 충북도에 따르면,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국회의원 22명 전원이 15일 오전 9시 30분부터 약 30분 동안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와 주변 미호강 제방에서 현장조사를 실시한다. 현장조사에는 충북도,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금강유역환경청, 금호건설 관계자들이 동행해 기관별 실무진이 사고 당시 정황을 설명할 예정이다.

현장조사 이후에는 국회 행안위와 김영환 충북도지사가 충북도청에서 약 30분간 질의응답 시간을 갖는다. 특히 지난 10일 진행된 국정조사 기관보고에서 의원들이 집중적으로 김영환 도지사의 책임 문제를 지적한 데 이어, 이번 현장 질의에서도 추가 공세가 집중될지 주목된다.
오전 11시에는 국회 행안위가 오송 참사 유가족과 만나 이들의 건의사항을 듣는 간담회를 진행한다. 참사 유가족들은 참사의 책임 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촉구할 것으로 보인다. 이날 청주 일정은 유족 간담회를 끝으로 마무리된다.
오송 참사 국정조사는 지난달 27일 시작해 이달 23일 김영환 도지사, 이범석 청주시장,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등 22명을 대상으로 하는 청문회, 25일 최종 보고서 채택을 끝으로 종료된다. 오송 참사와 관련해 8개 기관 45명이 재판에 넘겨졌으나, 참사 장소의 최고 관리책임자인 김영환 도지사가 기소 대상에서 빠지면서 도지사의 관리 책임과 과실 여부를 두고 국정조사의 초점이 모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 김영환 도지사는 기관보고 당시 "저 한 사람을 대상으로 해서 기소하기 위한 이런 국정조사는 여태껏 본 적이 없다. 이게 정치 탄압이 아니고 무엇이냐"고 강하게 반발했다. 이에 따라 정치권에서는 지자체장의 책임 소재와 수사의 공정성, 국정조사의 중립성을 둘러싼 진통이 길어질 전망이다.
오송 참사는 2023년 7월 15일 오전에 발생했다. 당시 폭우로 미호강 제방이 무너져 하천수가 궁평2지하차도로 유입되며, 시내버스 등 차량 17대가 침수돼 14명이 목숨을 잃었다. 참사 이후 관련 기관에 대한 수사와 재판이 이어지고 있지만, 참사 이후 공동 책임 문제와 정치적 쟁점이 반복되고 있다.
정치권은 이번 국정조사 및 청문회 일정을 통해 오송 참사의 진상과 책임 소재, 제도 개선 방향 등 치열한 논의를 이어갈 전망이다. 국회는 23일 청문회와 25일 보고서 채택을 마무리로 국정조사 공식 일정을 마무리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