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예스24 시스템 장애 24시간째”→접속 불가 장기화…복구 방안·원인 해명 질문 이어진다
사회

“예스24 시스템 장애 24시간째”→접속 불가 장기화…복구 방안·원인 해명 질문 이어진다

신도현 기자
입력

예스24의 시스템 장애가 시작된 지 24시간이 지나가고 있다. 6월 9일 새벽부터 예스24 홈페이지와 고객센터의 접속이 완전히 중단되면서, 온라인 서점과 공연 티켓 예매 서비스는 모두 멈춰섰다. 예스24 측은 공식 계정을 통해 “복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으나, 실제로 언제 문제 해결이 완료될 수 있을지 구체적인 안내는 아직도 공개하지 않고 있다.

 

시스템 점검 공지와 함께, 홈페이지에 접속할 때마다 ‘시스템 점검 안내’ 메시지만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예스24는 “더 나은 서비스 제공을 위해 점검 중”이라는 메시지를 전했지만, 실제 원인이나 기술적 문제의 구체적 내용은 밝혀지지 않았다. 6월 8일 주문 물량에서도 일부 상품이 출고되지 못해 취소 처리될 예정으로 확인됐으며, 이에 대한 후속 조치 역시 재공지하겠다는 답변만이 추가됐다.

예스24
예스24

문제는 단순히 서비스 접속 불가에서 그치지 않는다. 예스24를 이용해 공연 티켓 또는 서적을 예매하거나 구입했던 소비자들은 당장 자신의 거래와 정보 접근 자체가 끊긴 상황에 놓였다. 특히 인기 아티스트 비아이의 팬클럽 선예매 일정 역시 시스템 장애로 연기됐다. 안내 문구 중 ‘6월 9일(월) 현재’라고 표기됐던 부분도, 점검이 길어지자 이내 수정됐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시스템 장애 발생 시 책임 있는 정보 제공과 투명한 후속 대응 방안 마련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커지고 있다. 온라인 플랫폼의 기본적 신뢰 기반이 흔들릴 경우, 그 피해는 예매자·구매자 모두에게 직접적으로 이어진다. 더욱이 장애 발생 사유와 복구 시점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길어질수록, 회원들의 근본적인 불신과 우려가 커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

 

예스24는 꾸준히 국내 온라인 거래 플랫폼의 중심 역할을 맡아왔으나, 반복되는 서비스 장애와 미흡한 해명은 제도적 취약성의 신호로 해석된다. 정보통신 인프라 관리와 소비자 보호 제도의 실효성을 다시 점검할 필요가 제기되고 있다.  

 

당분간 복구와 정상화에 모든 관심이 쏠리는 한편, 이번 사건이 남긴 질문은 한동안 사회적 논의의 중심에 자리할 전망이다.

신도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예스24#시스템장애#접속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