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 연장된 해병특검, 의혹의 핵심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 정조준”…정국 격랑 예고
채상병 사망 사건을 둘러싼 외압·로비·도피 의혹을 놓고 해병특검과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가 정면으로 맞붙었다. 60일의 1차 수사 기간을 마친 이명현 특별검사팀이 31일, 한 달간의 추가 수사에 나서면서 정국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세 갈래 의혹을 향한 추가 조사와 핵심 인물 소환 여부에 따라 향후 정치적 파장이 가늠될 전망이다.
해병특검은 30일 만료 예정이던 수사 기간을 내달 29일까지 연장했다. 이에 따라 채상병 사건의 외압·은폐,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구명 로비,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도피 의혹 등 세 갈래 사안의 사실관계 규명에 박차를 가하게 됐다. 이명현 특검팀은 해병대 지휘부의 과실치사 혐의 적용 범위를 두고 법리 다툼이 벌어진 가운데, 확보한 진술을 교차 검증하며 단계별 책임 소재를 집중적으로 따지고 있다.

특히 특검팀은 세 갈래 의혹의 출발점인 ‘VIP 격노’의 실체를 추적 중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사건 처리 과정에서 보인 격한 반응의 구체적 배경, 후속 지시와 전달 경로가 수사의 핵심으로 떠올랐다. 특검팀은 “현장 책임자에게만 치중된 과실치사 법리 적용이 문제가 됐던 것인지, 아니면 외부 요청에 의한 과잉 반응이었는지까지 밝혀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성근 전 사단장 구명 로비 의혹 역시 정국의 뇌관이다. 특검팀은 임 전 사단장이 ‘VIP 격노’의 전말을 풀 키맨으로 보고, ‘멋쟁해병’ 단체대화방에 모인 해병대 출신·개신교계 인사 등 로비 창구의 연결고리를 추적하고 있다. 아울러 해병대 수사단·국방부 조사본부에 대한 혐의자 축소 지시가 어느 경로로 전달됐는지, 이종섭 전 장관을 비롯한 고위 간부, 대통령실 비서관 등에 대한 소환 조사가 이어질 예정이다.
외교·법조계 고위직들도 수사선상에 포함됐다. 이종섭 전 장관의 대사 임명 관련한 의혹에 대해 조태열 전 외교부 장관,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 심우정 전 검찰총장(전 법무부 차관), 이노공 전 법무부 차관 등 주요 인사들의 연루 여부 조사가 속도를 내고 있다.
수사의 정점은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로 옮겨붙었다. 김건희 여사의 최측근인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가 임 전 사단장 구명과 연관됐다는 단서가 확인되면서, 특검팀은 조은석 내란특검팀·민중기 김건희특검팀과의 연계 가능성도 검토 중이다. 그러나 윤 전 대통령과 김 여사가 관련 특검 조사에 응하지 않거나 비협조적 태도를 고수하는 만큼, 해병특검이 이들의 진술을 어떻게 확보할지 관심이 집중된다.
한편,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에 대한 긴급구제 신청을 기각한 김용원 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의 직권남용 혐의 수사도 본격화된다. 특검팀은 김 위원이 지난해 8월 국방부 검찰단의 사건기록 회수를 비판하다가, 이종섭 전 장관과 통화 후 입장을 바꾼 정황까지 면밀히 조사 중이다. 김 위원은 최근 출국금지됐으며, 소환조사 일정 조율이 진행되고 있다.
정치권은 해병특검의 추가 연장과 핵심 인물 소환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세 갈래 의혹과 윤 전 대통령 부부 관련 수사 결과는 향후 대선 정국뿐 아니라 정치권 전반에 파급력 있게 작용할 전망이다. 특검팀의 진상 규명 속도와 진술 확보 전략에 따라 정국 격랑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