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김건희 청탁 의혹 규명 압박”…코이카·삼일회계법인 압수수색 강행
청탁 의혹을 둘러싸고 특검팀과 핵심 인물이 정면 충돌했다. 김건희 여사를 겨냥한 통일교 이권 사업 개입과 관련해 압수수색이 추가로 단행되면서, 정치권의 긴장이 한층 높아지고 있다. 최근 공개된 수사 일정과 압수물 확보 과정은 한국 정치의 첨예한 대립 구조를 다시 부각시켰다.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24일, 서울 용산구 삼일회계법인과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한국국제협력단(코이카·KOICA)에 수사관을 급파했다. 특검은 현장 PC 파일과 각종 관련 문건을 확보했으며, 이는 통일교의 이권 사업 청탁 정황을 규명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외교부 산하기관인 코이카는 개발도상국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을 집행하는 핵심 기관이다. 압수수색 대상인 삼일회계법인은 그간 통일교 측 회계 감사를 맡아왔던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팀 관계자는 "통일교가 건진법사 전성배씨를 매개로 김건희 여사에게 사업을 청탁했다는 의혹에 대한 실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구체적으로는 통일교 세계본부장이던 윤 모 씨가 전 씨를 통해 캄보디아 메콩강 개발사업 지원과 YTN 인수 등 이권 사업을 김 여사에게 전달해 달라며, 6천만원 상당의 그라프 다이아몬드 목걸이와 1천만원 상당의 샤넬가방이 건네진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 2022년 6월 13일, 정부가 캄보디아에 대한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차관 한도를 7억달러에서 15억달러로 두 배 이상 상향한 점도 주목받고 있다. 이번 수사는 이 시점과 이권 청탁 의혹 간 연결고리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평이다.
특검은 앞선 18일 통일교 본부 회계자료 확보에 이어, 21일에는 한국수출입은행, 기획재정부, 외교부, 국제개발협력본부 등 경제협력기금과 직결된 정부기관을 압수수색하는 등 수사 폭을 빠르게 넓혀왔다.
정치권에서는 특검의 압수수색이 김건희 여사를 둘러싼 정치권 공방에 불을 지필 공산이 크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여권 일각에서는 수사 절차의 공정성을 지적하는 반면, 야권은 특검 수사의 신속성과 철저함을 촉구하고 있다.
수사의 향방에 따라 국내외 ODA 정책과 대형 투자 사업에 대한 여론 움직임도 요동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된다. 정부는 특검 수사 진행 경과를 지켜보며 추가 해명 및 관련 정책 검토에 나설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