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북한 미사일 중첩 요격체계 구축”…다산정약용함 진수, 해군 전력 대폭 강화
정치

“북한 미사일 중첩 요격체계 구축”…다산정약용함 진수, 해군 전력 대폭 강화

배진호 기자
입력

북한의 미사일 위협에 따른 해양 안보 논쟁이 거세진 가운데, 해군과 방위사업청이 핵심 전력인 다산정약용함 진수식을 공식 개최했다. 차기 이지스구축함 정조대왕급 2번함에 해당하는 다산정약용함(DDG-996)은 17일 울산 HD현대중공업에서 진수돼 국내 해상방어 체계의 한 축으로 떠올랐다.  

 

다산정약용함은 탄도탄요격유도탄(SM-3)과 장거리함대공유도탄(SM-6) 등 첨단 무기를 탑재할 예정으로, 북한 미사일 대응에 중첩 요격능력을 확보하게 된다. 기존 세종대왕급보다 대형화되고, 스텔스 기능이 강화된 정조대왕급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해군은 "정조대왕함과 함께 가장 강력한 전투역량을 보유한 수상함"이라며 향후 기동함대의 핵심임을 강조했다.  

다산정약용함에 도입 예정인 SM-3는 이지스구축함에서 발사돼 적 탄도미사일을 고도 90에서 500km 구간에서 요격, 승무원과 함정의 생존성을 크게 올린다. 이는 내년 국방 예산에 처음 반영된 사업이다. 이미 탑재가 확정된 SM-6는 요격고도 36km 이하의 종말단계 미사일을 차단하는 무기로, SM-3·SM-6가 동시에 장착되면 중간·종말 단계에서 적 미사일에 대응하는 이중 방어선이 구축된다.  

 

또한 다산정약용함은 함대지탄도유도탄까지 갖춰 전략 표적에 대한 원거리 타격 능력도 보유한다. 최근 국내 개발이 완료된 통합소나체계를 탑재해 잠수함 및 어뢰 등 수중위협 탐지 능력도 세종대왕급 대비 크게 향상된 것으로 전해졌다. 장거리 대잠어뢰와 경어뢰 등 대잠 공격수단은 물론 MH-60R 해상작전헬기 운용도 가능해 다층적 전투 능력을 확보하게 됐다.  

 

진수식에는 안규백 국방부 장관, 강동길 해군참모총장, 방극철 방사청 기반전력사업본부장 등 400여 명이 참석했다. 해군 관례에 따라 주빈 안 장관의 부인 심혜정 여사가 진수줄을 절단했고, 오색테이프 절단 및 선체 샴페인 세리머니 등 안전항해를 기원하는 행사가 이어졌다.  

 

전문가들은 “다산정약용함의 전력화로 한국 해군의 지대함·대공·대잠 방어력 모두가 한 단계 높아질 전망”이라는 평가를 내놨다. 해군과 정치권은 북한의 미사일 도발이 반복되는 가운데 해양기반 3축 체계의 실질적 구현이 시급하다는 공감대를 보여왔다.  

 

다산정약용함은 시운전 후 내년 말 해군에 인도돼 기동함대사령부에 배치될 예정이다. 국방부는 “향후 차기 이지스구축함을 비롯한 방위 전력을 계속 보완해 나갈 계획”임을 밝혔다.

배진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다산정약용함#해군#sm-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