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 없으면 보상 무의미”…테슬라, 머스크 1조 달러 보상안 표결 앞두고 논란
현지시각 2025년 9월 14일, 미국(USA) 전기차 기업 테슬라(Tesla)의 이사회는 내년 11월로 예정된 주주총회에서 최고경영자 일론 머스크(Elon Musk)에게 10년간 1조 달러에 달하는 보상안을 승인할지를 놓고 표결에 부치기로 했다. 이번 조치는 기업 역사상 최대 규모의 보상 패키지로서, 테슬라의 성장성과 지배구조, 그리고 글로벌 경영 패러다임에 적지 않은 파장을 예고하고 있다.
테슬라 이사회 의장 로빈 덴홀름(Robyn Denholm)은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보상안의 진짜 목적은 실적과 미래 목표 달성 여부에 따라 머스크의 경영권 영향력이 결정되는 것”이라며, “금전적 이득보다는 투표권과 회사 주도권을 보장하는 구조”임을 강조했다. 덴홀름은 또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 머스크는 단 한 푼도 받지 못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테슬라가 최근 실적 부진과 차량 판매 감소 등 성장세 둔화를 겪고 있다는 점에서, 보상안의 시기와 적정성에 대한 논란이 커지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주주 사회 내 찬반이 극명히 엇갈릴 전망이다. 일각에서는 “혁신적 경영을 지속하기 위해선 머스크의 리더십 보장이 필요하다”고 보상안 도입에 긍정적이다. 반면, 실적이 정체된 상황에서 ‘과도한 보상’이 오히려 주주 가치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주요 외신들도 이번 사안에 주목하고 있다. 테크크런치(TechCrunch)는 이 보상안이 “글로벌 기업 역사상 유례없는 규모이자, 테슬라 장기 전략의 전환점”이라고 평가했다.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는 “머스크의 역할과 권한이 직접적으로 갈리는 중대 기로”라고 진단했다.
업계 일각에서는 테슬라의 이같은 보상 구조가 미래 혁신과 성과를 추동할 것이라는 기대와 함께, 경영권 집중에 따른 리스크도 제기한다. 아울러 이번 보상안 목표가 과거보다 완만하게 설계됐다는 점에서 현실적 달성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과, 반대로 실패 시 머스크의 영향력이 제한될 수 있다는 전망이 동시에 제기된다.
향후 이번 보상안이 승인된다면 테슬라의 지배구조와 경영권 안정성에 결정적 전기가 마련될 수 있다. 반면 부결시 경영진과 주주 간 신뢰 또한 시험대에 오를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머스크의 경영 스타일과 테슬라의 혁신성 사이에서 글로벌 투자자들의 선택이 어려워질 것”이라며, “이번 표결이 글로벌 기술 기업 경영 구조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국제사회는 테슬라의 이례적 보상 조치가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