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아침 무동증 공략”…콘테라파마, 파킨슨 신약 1b상 긍정 데이터
IT/바이오

“아침 무동증 공략”…콘테라파마, 파킨슨 신약 1b상 긍정 데이터

조민석 기자
입력

파킨슨병 환자들의 심각한 아침 무동증 치료가 한 단계 진전될 전망이다. 부광약품의 덴마크 자회사 콘테라파마는 17일, 파킨슨병 환자를 위한 신약 후보 'CP-012'의 임상 1b상 톱라인 결과에서 안정성 및 내약성을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파킨슨병에서 나타나는 야간 부동성 및 아침 무동증 등 운동 장애 합병증을 겨냥한 국내외 최초의 시도 중 하나로, 업계에서는 파킨슨병 보완 치료제 시장의 분기점이 될 가능성을 주목하고 있다.

 

CP-012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약학신티그래피 기법을 통해 약물의 체내 이동과 방출 과정을 영상으로 추적, 기존 파킨슨병 치료제 대비 독특한 '지연 방출'(slow-release) 프로파일을 설계했다. 임상 1b상에서는 환자 최대 15명을 대상으로, 약물이 체내에 천천히 방출돼 파킨슨병 환자가 가장 증상이 심한 이른 아침 시간대에 주요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 확인됐다. 안정성과 내약성(약물 부작용에 대한 신체 적응 능력)도 주요 평가 항목에서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이 기술은 파킨슨 환자에서 야간 유지 효과는 부족하고, 아침 무동증 개선에 한계가 있던 기존 레보도파 기반 약물 대비 약효 지속 시간과 증상 타깃 면에서 명확한 차별점을 보였다. 실제로 신티그래픽 데이터는 CP-012의 지연 방출 방식을 구체적으로 뒷받침하며, 체내 분포 및 전달 타이밍을 최초로 입증했다는 평가다.

 

시장에서는 CP-012가 환자의 야간 부동성, 아침 운동장애 등 미충족 치료 수요를 겨냥해 차별화된 효과를 선보일 경우, 파킨슨 약물 시장 내 새로운 치료 옵션이 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한편,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아침 무동증을 표적으로 한 차세대 약물 개발이 진행되는 흐름 속에서, 콘테라파마는 독자적 방출 시스템 기반의 임상 근거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재 국내외 신약 후속 임상 및 품목허가 과정에서는 체내 전달기술, 약효지속성 등 신속한 평가체계 마련이 중요 쟁점으로 부상했다. 업계 전문가들은 '지연 방출' 플랫폼 계열 약물의 경우, 안전성과 효능 입증을 위한 공인 데이터가 상업화 진화를 가를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본다.

 

업계는 CP-012와 같은 차세대 치료제의 임상 진척이 실제 시장 진입과 환자 삶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기술과 제도의 균형이 파킨슨 정밀의료 분야 미래를 좌우할 전망이다.

조민석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콘테라파마#cp-012#파킨슨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