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58년 만에 부활하는 노면전차”…위례선 트램, 친환경 시험운행 본격화
사회

“58년 만에 부활하는 노면전차”…위례선 트램, 친환경 시험운행 본격화

김서준 기자
입력

서울시가 58년 만에 다시 도입하는 노면전차, 위례선 트램이 본격적인 예비주행시험에 돌입했다. 국내 최초로 무가선 방식이 적용된 이번 트램은 친환경 배터리로 운행돼, 기존 전차선 없이도 도심을 누빌 예정이다.

 

서울시는 오는 9월 초부터 약 한 달간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오송시험선 구간에서 위례선 트램의 초도 편성을 대상으로 가속, 제동, 곡선주행, 신호 연동, 소음·진동 등 안전과 성능을 종합적으로 검증하는 예비주행시험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 과정에서 차량은 총 5000킬로미터 이상을 달리며, 위례선 트램 사업의 핵심 관문 역할을 하게 된다.

위례선 트램(출처=서울시)
위례선 트램(출처=서울시)

위례선 트램은 총 5.4킬로미터 구간에 걸쳐 지하철 5호선 마천역, 8호선과 수인분당선 복정역, 남위례역을 잇는다. 12개 정거장과 차량기지 1곳이 설치될 예정이며, 총 10편성이 운행된다. 특히 초저상 구조로 설계돼 교통약자 등 시민들의 접근성을 크게 높였다.

 

도로 위를 달리는 트램 특성상 13개 교차로와 35개 횡단보도가 마련돼 정밀한 안전 시스템 확인이 필수적이다. 서울시는 예비주행시험 기간 동안 다양한 상황을 모의 적용해 최고 수준의 안전성과 품질을 확보하겠다는 입장이다.

 

차량 디자인은 서울시 엠보팅(온라인 시민 설문)의 결과를 반영, 서울·성남·하남 세 도시를 상징하는 보라색으로 결정됐다. 또한 레이더와 카메라를 활용한 전방 충돌경보 등 첨단 안전장치도 도입됐다.

 

서울시는 예비주행시험 이후 본선 구간 종합시험운행을 거쳐 2026년 하반기 위례선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1968년 운행이 중단됐던 서울 트램은 58년만에 위례선을 통해 재등장하게 된다.

 

관계자는 “시민 안전과 편의를 최우선으로, 친환경 교통모델 구축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전했다. 혁신적인 도시교통 변화가 기대되는 가운데, 서울시의 시험운행 결과에 관심이 모아진다.

김서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위례선트램#서울시#친환경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