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장단기 가뭄 대책 모두 챙겨라”…이재명 대통령, 강릉 현장서 해수담수화 카드 제안
정치

“장단기 가뭄 대책 모두 챙겨라”…이재명 대통령, 강릉 현장서 해수담수화 카드 제안

강태호 기자
입력

강원 강릉 지역의 극심한 가뭄 상황을 두고 청와대와 지방자치단체가 맞붙었다. 물 부족 해소를 위해 이재명 대통령은 8월 30일 현장을 찾아 직접 대책회의를 주재하는 등 정치권 전체가 격랑에 휩싸였다. 정부의 적극적 대응 주문에 지방 행정과 상인 현장이 긴장감에 휩싸였고, 각종 중장기 해법이 쏟아졌다.

 

이날 오후 이재명 대통령은 강릉의 핵심 상수원인 오봉저수지 현장을 시찰한 뒤, 강릉시청 재난안전상황실에서 가뭄 대책회의를 개최했다. 오봉저수지 저수율은 8월 29일 기준 15.7%로 역대 최저치에 가까운 수치를 기록했고, 각 가정은 수도 계량기의 50%를 잠그는 제한급수 조치까지 실시되고 있다. 대통령의 급작스러운 주말 방문은 이 같은 비상 국면에서 이뤄졌다.

대책회의에는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김진태 강원도지사, 김홍규 강릉시장,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 더불어민주당 허영 의원 등 중앙·지방 핵심 인사들이 총출동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회의에서 “장단기 대책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실효성 있는 방안을 마련하라”며 “행정안전부 장관이 중심이 돼 신속히 대책을 추진하라”고 지시했다. 또한 “전국 단위에 기부를 요청해 공동체 의식도 함양하라”고 강조하며, 여력이 있는 지자체가 물 지원에 나설 것을 주문했다.

 

현장에서는 “가능하면 생수 지원 시 소형 말고 대형 병으로 해달라. 쓰레기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는 현실적 조언도 등장했다. 김진태 도지사가 “생수가 129만톤 정도 쌓여 있다”고 보고하자, 이재명 대통령은 “129만톤이 아니라 129만 병”이라며 단위를 바로잡는 등 세부상황까지 일일이 점검했다.

 

특히 주목을 끈 대목은 해수담수화 설비 도입 가능성 검토였다. 이재명 대통령은 “혹시 바닷물을 담수화할 생각을 해본 적 있느냐”며, “강릉만이 아니라 타 지역에서도 언제든 발생할 수 있는 문제”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홍규 강릉시장은 “비용이 많이 든다”고 우려를 표했지만, 대통령은 “물 부족은 저수지를 계속 만든다고 해결되지 않는다. 바닷물은 무한하고 원수 확보도 쉽다. 근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황주호 한수원 사장이 “계산해서 보고하겠다”고 답하는 등 실무 논의로 연결됐다.

 

또한 이재명 대통령은 “장기적으로 기후 변화 대응이 핵심이다. 우리나라도 물 부족 국가로 분류돼 있다”며, 미래형 물 관리 전략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한편, 상수도 공급 제한 현실에 대해서도 “대책 없는 비상사태에 대비해야 한다. 시간 제한 급수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김홍규 시장이 “9월엔 비가 올 것이라 믿고 있다”고 하자, 대통령은 “하나님만 믿을 수는 없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국민 생명을 놓고 실험할 수 없다”고 꼬집었다.

 

현장 점검은 상가 단위로도 이어졌다. 이재명 대통령은 경포대 인근 횟집 거리 상가를 찾아 상인들에게 직접 급수 상황과 영업상 어려움을 묻고, “최선을 다해 대책을 세우겠다”고 약속했다. 상인들은 “아직까지 장사에 직접 영향은 없지만, 손님들 사이에서 ‘가뭄에 놀러 오기 미안하다’는 분위기가 있다. 앞으로가 걱정된다”고 응답했다.

 

이날 강릉 지역에 재난 사태 선포가 내려지며 중앙정부-지자체 간 협력체계가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정부는 생수 지원, 저수 시설 예산 확보, 해수담수화 등 장단기 해법을 검토할 계획이다. 정치권도 기후위기 대응 전략 논의에 속도를 낼지 주목된다.

강태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대통령#강릉가뭄#해수담수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