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비핵화 의지 변함 없다”…이재명·이시바, 무역질서 협력 강조
한반도 정세와 급변하는 국제 무역질서를 두고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맞붙었다. 북핵 문제 해법과 경제 협력 방안을 둘러싼 양국 정상의 행보에 이목이 집중되는 가운데, 한일 정상회담이 부산에서 열렸다. 두 정상은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에 대한 확고한 뜻을 거듭 확인했다.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9월 30일 부산 벡스코에서 정상회담을 진행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프레스센터 브리핑을 통해 “양 정상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구축 의지를 재확인했다”고 전했다. 최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핵을 포기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하면서도 ‘비핵화 요구’ 철회 시 미국과의 대화 가능성을 언급하는 등 긴장감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한일 정상이 비핵화 목표에는 흔들림이 없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정상회담에서는 이재명 정부의 중점 사업인 북극항로 개발 협력 방안도 심도 있게 논의됐다. 부산 지역의 숙원 사업이기도 한 북극항로 사업과 관련해 한일이 실질적 협력에 나설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인다. 아울러 지정학적 환경, 무역질서 변화에 대응하는 경제 파트너십 필요성에 두 정상 모두 공감대를 형성했다는 점도 주목된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회담에서 과거사 문제와 관련해 “과거를 직시하되 미래 지향적인 협력을 계속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양국 협력이 쌓아가는 긍정적 성과가 향후 대화에도 선순환을 일으킬 것”이라며 미래지향적 관계 발전을 강조했다. 한일 양국이 동북아 안정과 글로벌 경제 파트너로서 실질 협력을 확대할 필요성에 뜻을 모은 것이라는 해석이 따른다.
한일 정상 간 이번 합의에 대해 정치권에서는 신중한 관망론과 실질 성과 기대감이 교차하고 있다. 여야는 ‘한반도 비핵화 공동 의지’ 명확화에 의미를 두면서도, 향후 구체적 실천 방안과 대북 공조에 대한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전문가들 역시 “동북아 안보 위기와 경제지형 변화 속에서 실질 협력 성과로 확장될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견해를 내놓고 있다.
한일 정상회담을 계기로 두 나라는 경제·안보 현안에서 유연한 연대와 대화를 이어갈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맞이했다. 정부는 북핵 문제 대응과 북극항로 사업 등 주요 의제를 중심으로 실무 협의를 지속해, 양국 협력의 실질 성과로 연결하기 위한 방안 마련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