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자까지 징계”…KPGA, 피해 직원 무더기 처분→노조 거센 반발
무거운 침묵이 내려앉은 한국프로골프협회 사무국은 최근 임원 가혹 행위 사태로 또다시 논란의 한가운데에 서게 됐다. 신고자를 포함한 피해 직원들 다수가 징계 통보를 받으며, 스포츠 조직 내 공정성과 인권 보호의 가치가 거세게 흔들리고 있다.
한국프로골프협회는 8일 징계위원회를 열고 가혹 행위를 겪은 직원 6명에게 견책과 해고 등 극단적인 징계 결정을 내린 것으로 확인됐다. 최초 신고자인 직원 B씨는 견책, 고용노동부 성남지청 조사까지 받았던 C씨는 해고 처분됐다. KPGA 노동조합은 가해자 징계를 미루던 이사회 구성원 상당수가 징계위에 참여했다는 점을 지적하며 내부 절차의 독립성과 공정성에도 문제를 제기했다.

A씨는 지난해 말부터 동료 직원에게 반복적인 폭언과 욕설, 가족을 언급한 인신공격, 연차 강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압박해온 사실이 드러났다. 각서 강요, 시말서와 경위서 무리한 제출, 부당 퇴사 압박 등 인권 침해 양상은 경찰과 노동 당국 조사 끝에 직장 내 괴롭힘으로 결론 났다. 고용노동부 성남지청에서도 실제 과태료가 부과됐고,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스포츠윤리센터 역시 KPGA에 공식적으로 가해자 징계를 권고했다.
반면 KPGA는 A씨에 대해서 임시 조치인 무기한 정직만 부과한 채 정식 징계에는 미온적인 태도를 보였다. 오히려 피해자들에게 중징계가 내려지면서, 징계 절차의 방향성과 피해자 보호의 원칙이 거세게 도마에 오르고 있다.
노조는 “가해자의 요구로 제출한 시말서를 징계 사유로 활용하며 신고자까지 처분 대상에 올린 건 근로기준법이 보장하는 신고자 보호 원칙 위반”이라고 비판했다. 동시에 유관 기관 접수와 공론화 요구가 커지며, KPGA 내외부의 상황은 한층 엄중해지고 있다.
폭풍이 휩쓴 사무실, 침묵 뒤편엔 여전히 상처가 남아있다. 누군가는 절박하게 정의를 믿고, 또 누군가는 조직의 벽을 절감한다. KPGA를 둘러싼 논란의 여운은 어디까지 이어질지, 체육계 내 반성과 성찰이 촉구되는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