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식품 고관세, 글로벌 수요 급감”…공급망·품질 관리 ‘경고등’
건강기능식품 산업이 미국의 관세 강화 정책에 직면하며 글로벌 공급망의 불안정성이 심화되고 있다. 2024년 발표된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최신 보고서는 최근 트럼프 행정부가 도입한 건강식품 원료 고율 관세가 단순한 무역 이슈를 넘어 산업·시장 전반에 연쇄 충격을 미치고 있음을 경고한다. 미국은 2017년 대비 2024년 건강 관련 품목 및 처방약 수입이 각각 115.8%, 120.4% 증가할 정도로 수입 의존도가 높아진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이 중국산 버섯류·식물성 원료에 최대 145%, 기타 기능성 원료에도 국가별로 10~125% 고율 관세를 부과함에 따라, 산업의 구조적 취약성이 극대화되는 모습이다.
건강기능식품 산업은 글로벌 공급망에서 원료·제조를 특정 국가에 크게 의존하는 구조적 특성이 있다. 기능성 버섯, 식물성 추출물, 아미노산 등 주요 성분의 60~80%를 중국이 전세계에 공급한다. 이런 원료가 고관세 품목에 포함되면서, 중국 업체들은 동남아·유럽·중남미 등지로 생산지 분산 또는 자국 내 소비시장 강화로 전략을 수정하고 있다. 미국 수입기업은 대체 원료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안정성과 경제성을 동시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이 지속된다.

특히 이번 관세 정책은 제품 원가와 소비자 부담에 즉각 영향을 주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관세 인상분의 90%가 소비자 가격에 반영돼, 평균 10~30% 가격 상승이 현실화됐다. 가격에 민감한 저소득층 소비자의 접근성 저하가 뚜렷해지며, 건강 불평등 이슈로 비화할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중소 브랜드는 유통 마진과 광고 비용 부담까지 더해져, 일부 품목은 생산을 중단하거나 시장에서 퇴출되고 있다.
문제는 품질 및 안전 관리 영역에서도 빨간불이 켜졌다는 점이다. 원가 압박이 커지자 값싼 대체 원료 사용, 허위 표시, 라벨 위조 등 ‘경제적 동기’에 의한 품질·위생 리스크가 증가하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고관세로 인한 불법 수입과 블랙마켓 유입이 늘며, 추적성 상실·저온유통 미준수 등 안전성 이슈가 커진다. 대만 등 대체 제조거점이 떠오르지만, 미국 중심의 글로벌 수요 위축 자체가 위탁생산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전문가들은 공공보건 인프라의 한 축을 담당하는 건강기능식품 산업이 단순 소비재를 넘어 ‘예방 중심 건강관리’의 전략적 자산임을 강조한다. 미국의 보호무역 정책과 같이 일괄적 관세 중심 조치는 일시적 무역수지 개선과 달리 산업 신뢰도와 품질, 공급망 건전성까지 위협할 수 있다. 산업계는 이번 사태가 실제 시장 붕괴로 이어질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정책과 시장, 공공보건의 유기적 연계가 글로벌 산업의 지속가능성을 좌우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