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중독 사고 막는다”…식약처, 취약계층 급식시설 위생 점검 강화
식품위생 관리 강화가 사회복지·산후조리원 등 취약계층 급식 산업의 신뢰도를 높이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와 17개 지방자치단체는 지난 6월 9일부터 20일까지 전국사회복지시설과 산후조리원 등 5850곳 급식시설 위생점검을 실시한 결과 식품위생법 위반 시설 11곳을 적발, 과태료 등 행정처분을 예고했다.
이번 점검은 노약자, 장애인, 산모, 아동 등 건강상 취약계층이 이용하는 급식시설의 위생관리 실태를 집중 모니터링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주요 위반 사례로는 조리장 위생 미흡, 소비기한 경과 제품 보관, 보존식 미보관, 검수일지 미작성, 시설기준 미달 등이 확인됐다. 적발된 시설에 대해서는 즉각적인 조치와 함께 6개월 내 재점검이 이뤄진다.
식약처는 점검 대상 시설에서 제공된 조리식품과 조리기구 791건의 샘플을 식중독균 등 기준·규격 준수 여부에 따라 조사했다. 검사 결과 676건은 적합 판정을 받았고, 나머지 115건은 추가 분석이 진행 중이다. 특히 이번 조치는 여름철 식중독 사고 방지와 더불어 취약계층의 급식 안전망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해외 주요국도 복지시설 식품 안전 규제를 강화하는 추세다. 미국은 연방정부 차원에서 사회복지시설 식단 위생 기준을 상시 관리하며, 유럽 각국 역시 취약계층 보호를 위한 급식시설 정기 점검을 제도화했다.
한편, 식약처는 “앞으로도 위생 취약시설에 대한 지도·점검을 지속해 식중독 등 식품 안전사고 예방에 총력을 다할 것”이라 밝혔다. 전문가들은 “취약계층 급식시설 위생 관리 강화를 통해 사회적 비용 절감과 산업 신뢰도 제고가 기대된다”며 정책 일관성 유지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산업계는 이번 위생 관리 강화 조치가 실제 현장에서 정착해 국민의 불안감 해소와 안전한 식생활 문화 조성의 계기가 될지 지켜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