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현장 변화 요구”…전공의노조 공식 출범에 3000명 가입
전공의들의 전국 단위 노동조합인 ‘대한전공의노동조합’이 14일 공식 출범하며 의료 산업 내 인력환경 변화의 신호탄을 쏘았다. 지난해 2월 의대 정원 확대 정책에 반발해 현장을 떠났던 전공의들은 지난 1일 복귀한 이후 조직 결집을 본격화하고 있다. 전공의노조 측은 전국 수련병원을 망라, 3000여명 가입을 기록하며 의료 현장 내 노동권 보장과 의료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 문제를 정책 아젠다로 올렸다. 업계에서는 이번 전공의노조 설립이 ‘근로환경 개선’과 ‘환자 안전’ 강화라는 양대 이슈의 분기점이 될 전망으로 보고 있다.
이날 대한전공의노조는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 회관에서 발대식을 열고 ‘8대 요구안’을 공개했다. 근무시간 단축(주 72시간) 시범사업의 철저한 준수 및 전 진료과 확대, 전공의 1인당 환자수 제한, 임신·출산 전공의 안전보장, 방사선 피폭 대책, 휴게시간·연차·병가의 현실적 보장, 폭언·폭행 근절, 전공의 특별법 개정 등 내용이 담겼다. 노조 출범선언문에서는 수련 환경 내 ‘혹사’ 근절과 의료 현장 내 인권·교육권 실현이 가장 시급한 문제로 지목됐다.

전공의노조의 가장 큰 차별점은 산업 내 기존 직종별 노조와 달리 전공의 전체를 포괄하는 전국 단위 조직이라는 점이다. 기존 노조가 실제 참여와 실행이 저조했던 한계를 넘어, 실제 협상력 확보를 통한 구조 변화가 가능할지에 업계와 정부 이목이 집중된다.
특히 전공의들의 노동환경 개선은 국내 첨단 의료기술 발전, 병원·IT 융합 진료시스템 도입 등과 맞물려 ‘환자 안전’과 ‘의료 서비스 질’의 핵심으로 부각된다. 법정 수련환경 보장과 근로조건 개선이 숙련 인력의 지속적 양성에 필수적이라는 평가다. 미국, 유럽 등 주요국에서도 전공의의 노동시간 제한과 수련체계 개선이 의료 질 향상과 직결된다는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정부와의 협상 과정에서 의료특별법 개정 등 제도적 논의가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 의료계·노동계·정부 간 ‘수련인력 환경’ 이슈는 AI 의료, 디지털 헬스케어 등 차세대 융합기술 활용도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으로 꼽힌다.
유청준 전공의노조 위원장은 “노동 인권 보장이 곧 환자의 안전을 지키는 것”이라며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의료시스템의 출발점”이라고 밝혔다. 산업계는 이번 전공의노조 출범이 현장 정책 변화로 이어질지 여부를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