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공관장 전원 일괄사표 지시”…외교부, 새 정부 출범 맞춰 본격 물갈이 착수
새 정부 출범을 둘러싼 물갈이 인사가 외교부를 중심으로 본격화됐다. 외교부는 세계 각국에 주재 중인 모든 대사와 총영사 등 재외공관장 전원에게 일괄적으로 사직서를 제출할 것을 요청하며 재신임 절차에 착수한 것으로 17일 알려졌다. 전면적인 인적 쇄신 요청이 공식화되면서 각 공관장들의 거취와 4강 대사 교체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복수의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외교부는 지난 15일 각국 공관장들에게 ‘공관장직 재신임 절차를 위해 사직서를 제출해달라’는 내용의 공문을 전달했다. 이에 따라 다수의 공관장은 “새 정부 출범에 따라 재신임을 앙청한다”는 취지로 일괄 사직서를 제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부는 사직서 접수 이후 수리 또는 반려를 결정해 공관장 개별 거취를 확정할 계획이다.

이번 조치는 지난달 말 미국, 일본, 러시아, 유엔 등에 주재하는 특임 공관장들에게 귀국 지시가 내려진 것과 별개로 진행된 사안이다. 특임 공관장은 경력 외교관이 아니어도 대통령이 전문성과 자질을 인정해 임명하는 공관장직을 뜻한다. 이번 일괄 사표 요청은 대통령이 임명권을 가진 재외공관장 전원의 거취를 포괄적으로 재정비하는 취지로 해석된다.
정치권은 전면적 인선 재편 과정을 새 정부의 외교 노선 가다듬기 신호로 받아들이고 있다. 여권은 “업무 연속성과 혁신 모두가 중요하다”고 밝히는 한편, 야권 관계자는 “외교부가 관행적으로 해온 형식적 절차이지만, 재외공관장 인사 역시 정치적 코드 인사의 도구로 전락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와 맞물려 조현 외교부 장관 후보자가 국회 청문회를 통과한 직후 취임할 예정이어서, 신임 장관 주도로 재신임 결정과 4강 대사 등 주요국 인선 작업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특히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주요 대사 교체가 외교 정책의 방향성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집중된다.
외교부는 “관례적 절차를 통해 업무의 연속성이 훼손되지 않도록 공관장 선임작업을 신속하게 추진하겠다”고 전했다. 정부는 향후 재외공관장 인선 방침을 확정하고, 주요국 대사 인사를 조기에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