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일·한미일 협력 실용외교 중심” 조현, 일본 외무상과 첫 통화…협력 강화 시사
정치

“한일·한미일 협력 실용외교 중심” 조현, 일본 외무상과 첫 통화…협력 강화 시사

신유리 기자
입력

한일·한미일 협력의 전략적 중요성을 둘러싸고 한일 양국 외교 수장이 첫 공식 소통에 나섰다. 조현 외교부 장관은 24일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상과 약 20분간 통화하며 취임 인사를 주고받고, 양국 관계의 안정적 발전 그리고 동북아 지역 정세에 대한 공조 확대 의지를 분명히 했다.

 

외교부에 따르면 조현 장관은 “한일·한미일 협력은 한미동맹과 더불어 우리 정부 실용외교의 중심축”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양국 국민 간 우호 인식을 기반으로 보다 견고하고 미래지향적인 한일관계 구축에 힘쓰자”고 제안했다. 이에 이와야 외무상은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언급하며, “한일관계와 한미일 협력 심화를 위해 앞으로도 긴밀히 협력하길 희망한다”고 화답했다.

양측은 한일 양국이 지역 및 글로벌 현안 대응을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손잡아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 특히 “정상 간 셔틀외교, 장관 간 의사소통 등 각급 채널을 통한 긴밀한 대화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포괄적 공감대를 형성했다.

 

일본 외무성도 이와야 외무상이 조현 장관의 취임을 직접 축하했으며, 양국이 대북 대응을 비롯해 주요 안보 현안에 면밀히 공조한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조현 장관은 취임 이후 타국 외교수장과의 첫 통화 상대로 일본을 선택했다. 통상 미국 국무장관과의 첫 인사가 관례이나, 문재인 정부 시절 강경화 장관, 박근혜 정부 시절 윤병세 장관 역시 일본과 먼저 통화한 선례가 있다. 이번에도 외교 일정상 일본과 조율이 우선 이뤄지면서 “굳이 늦출 이유가 없었다”는 외교가 해석이 나온다.

 

한편 조현 장관은 다음 주 방미 일정을 추진하고 있으나,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과 별도 통화 여부는 불투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어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과의 통화도 조율 중이다. 한때 러시아와도 외교장관 통화가 관례였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통화가 중단된 상황이다.

 

외교부는 “향후 한일 및 한미일 협력 강화는 역내 평화와 번영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현 장관의 연쇄 외교 행보가 대북·지역 안보 현안과 관련해 어떤 추가 협력 성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신유리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조현#이와야다케시#한일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