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 국감 싸움꾼 역할”…국민의힘, 정부 정책 실정 정조준
국민의힘이 추석 연휴 직후 국정감사 체제로 전환하면서 이재명 정부 정책을 겨냥한 공세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여야의 민생 대전이 예고된 가운데, 국민의힘은 ‘싸움꾼 야당’ 이미지를 넘어 정책 대안 정당으로 위상을 다지겠다는 전략을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10일, 국민의힘은 국정감사 종합상황실 현판 제막식을 열고 본격적인 ‘민생 국감’ 모드로 돌입했다. 장동혁 대표는 상황실 현장에서 “이재명 정부가 잘하는 게 민생을 살피지 않는 것 딱 하나”라며 “여당보다 유능한 야당임을 보여주고, 의원 107명 모두 민생 싸움꾼이 되겠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송언석 원내대표도 국회 대책회의에서 “국감 기조는 독재를 저지해 내 삶을 지키는 것”이라고 밝히며, “특검과 무차별 정치 보복, 정부 조직 개편의 졸속 문제 등 사법체계 교란 시도까지 낱낱이 파헤치겠다”고 밝혔다.

이번 국정감사에서 국민의힘은 이재명 정부의 관세협상, 부동산 정책, 경제정책의 문제점을 집중 부각한다는 입장이다. 송 원내대표는 “관세 협상 교착으로 인한 환율 폭등, 수도권 집값 폭등 등 이재명 정부의 실정을 고발하겠다”며, “저성장 촉진 드라이브 문제도 파헤쳐 대안을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여기에 김도읍 정책위의장도 “기업이 움츠러들면 세수 감소 등의 악순환이 발생한다”며 경제정책 전반의 전환과 부동산 대책 근본적 수정을 촉구했다.
정희용 사무총장 역시 “무엇보다 민생이 먼저”라며 “정부의 무능으로 인한 실정을 철저히 검증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국민의힘은 반도체·인공지능(AI) 첨단산업특별위원회를 새로 구성하는 등 미래산업 분야에도 대응차원에서 집중하겠다는 방침을 내놨다.
국민의힘은 그간 여권의 ‘일방주도’ 국정 운영을 비판해 왔으나, 최근 여론조사에서 당 지지율이 20%대 중반에 머물자 대여 정책 공세와 민생 메시지를 병행하는 투트랙 전략으로 전환한 모습이다. 당 관계자는 “중도층을 공략하려면 정책 행보로 유능함을 보이는 것밖에 없다”면서, “소비쿠폰을 통한 물가 부작용이 본격화되고 있기에 정부·여당에 대한 비판도 이어가겠다”고 언급했다.
이에 따라 국민의힘은 앞으로 국정감사에서 주요 민생 현안 검증과 더불어 정책 대안 논의에도 속도를 낼 전망이다. 국회는 다음 회기에서 민생경제협의체 구성 등 후속 논의에 본격적으로 나설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