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XRP, 글로벌 금융 가교 자산으로 부상”…리플, 비트코인과 독자 행보에 시장 주목
국제

“XRP, 글로벌 금융 가교 자산으로 부상”…리플, 비트코인과 독자 행보에 시장 주목

최하윤 기자
입력

현지시각 23일, 리플의 가상자산 XRP가 글로벌 금융 인프라 핵심 자산으로 재평가되고 있다. 암호화폐 시장에서 비트코인의 변동성이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해온 기존 흐름과 달리, XRP는 안정적 결제와 규제 순응성을 무기로 명확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는 평가다. 이러한 변화는 최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의 법적 분쟁 해소, 실수요 기반 서비스 확장 등 복합적 배경에서 비롯됐다.

 

타임스 타블로이드 등 현지 매체들은 “XRP가 단순 투자·투기 자산이 아닌, 금융기관을 위한 실질적 브리지 통화로 독자적인 길을 개척하고 있다”고 전했다. XRP는 기존 국제 송금 네트워크의 복잡성과 높은 중개수수료, 환율 변동 위험을 해소할 중립적 중개 자산으로 설계됐다. 실제로 은행과 결제 기업들이 다수의 중간 단계를 거치지 않고 직접·실시간으로 글로벌 청산을 실현할 수 있다는 점이 강점으로 꼽힌다.

리플 XRP 제도권 금융 가교 자산으로 부상…비트코인과 독자 노선
리플 XRP 제도권 금융 가교 자산으로 부상…비트코인과 독자 노선

한동안 리플과 XRP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의 소송으로 시장 진입에 제동이 걸렸다. SEC는 미등록 증권 판매 혐의로 소송을 제기했다. 하지만 최근 일련의 판결을 통해 XRP 거래가 증권 거래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해석이 명확해졌고, 양측이 항소를 철회하면서 법적 리스크가 사실상 해소됐다. 이에 따라 글로벌 금융기관과 핀테크 기업들 사이에서 XRP 채택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XRP 레저 역시 자동화 시장조성, 스테이블코인 통합 등 신기술 도입을 통해 기관용 금융 인프라로서의 역량을 키워가고 있다.

 

시장 반응도 가시적이다. 여전히 비트코인이 암호화폐 생태계에서 핵심 기준점으로 기능하고 있으나, XRP는 실사용 기반 수요와 규제 안정성, 인프라 혁신 등 실질 지표에 따라 독자적 가치 평가를 받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리플이 발행한 스테이블코인 RLUSD와 글로벌 은행 라이선스 확보 시도 또한, XRP의 투기성 이미지를 탈피시켜 제도권 금융으로의 정착을 뒷받침한다는 분석이다.

 

다만, 규제·제도 측면의 과제와 글로벌 유동성 확충 등의 도전도 남아 있다. 각국의 규제 환경과 인프라 격차가 여전히 현실적 장벽으로 작용한다는 지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XRP가 더욱 빠른 결제 속도와 규제 준수, 비용 효율성을 앞세워 실질적 금융 가교 역할을 확장할 경우, 비트코인 중심의 암호화폐 시장과는 차별화된 성장 경로를 그릴 수 있을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장기적으로 XRP가 디지털 금이 아닌, 금융 시스템을 연결하는 핵심 자산으로 자리잡을지 주목된다”고 진단했다.

 

국제사회와 투자자들은 앞으로 XRP의 제도권 금융 안착과 실질적 결제 네트워크로의 진화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최하윤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리플#xrp#비트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