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韓 협상 의지 강하게 드러나”…하워드 러트닉, 韓측 막판 행보 부각
정치

“韓 협상 의지 강하게 드러나”…하워드 러트닉, 韓측 막판 행보 부각

이도윤 기자
입력

미국과 한국 정부 간 무역협상이 막판 변수에 직면했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이 한국 당국자들이 자신을 만나기 위해 스코틀랜드까지 찾아온 사실을 직접 언급하면서, 한미 통상 협상이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미국 상무부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8월 1일 상호관세 부과 시한을 앞두고, 한국의 실무 대표단이 마지막까지 대미 설득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음을 내비쳤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28일(현지시간)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인들이 저녁 식사 후 나와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 대표를 만나기 위해 스코틀랜드로 비행기를 타고 왔다”고 밝혔다. 진행자의 ‘협상이 진행 중인가, 일본을 부러워하고 있나’라는 질문에 그는 “내 말은, 그들이 얼마나 진정으로 협상 타결을 원하는지를 생각해보라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러트닉 장관이 지칭한 ‘한국인들’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여한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으로, 두 사람은 최근 워싱턴DC와 뉴욕에 이어 스코틀랜드까지 이동해 미측과 협상 테이블을 이어간 것으로 파악된다.

러트닉 장관은 이들이 찾아온 정확한 시점에 대해 “방금 스코틀랜드에서 돌아왔다”고 전제하면서 26일 또는 27일로 짐작된다고 언급했다. 김정관 장관과 여한구 본부장 역시 그의 동선을 따라 워싱턴DC로 이동한 것으로 보인다. 두 사람은 트럼프 대통령의 스코틀랜드 방문을 수행하는 러트닉 장관 일정을 추적해 이동했으며, 미국 상호관세 유예 시한이 임박한 상황에서 타결을 위한 총력전을 벌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 행정부는 협상 주도권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있음을 재차 강조했다. 러트닉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운전석에 앉아 있다. 그는 모든 카드를 손에 쥐고 있으며, 관세율과 각국 시장 개방 기준을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8월 1일 전에 모든 거래가 성사될 수 있나”라는 질의에는 “그렇다. 모두 준비가 돼 있다. 대통령이 최종적으로 테이블에서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일부 국가는 완전히 시장을 개방했고, 일부는 덜 준비됐다. 대통령이 원하는 방식대로 결정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한미 협상 결과에 따라 국내 산업계의 이해관계, 국제관계의 미묘한 균형이 긴박하게 움직일 수 있다는 시각이 제기된다. 일련의 협상 과정을 두고 미국·한국 모두 막판까지 주도권을 놓지 않으려는 기싸움이 이어진다는 평가도 나온다.

 

8월 1일 미국 상호관세 유예 시한이 다가오면서, 산업통상자원부는 미국 측과의 추가 협상 일정을 조율 중이다. 협상 결과에 따라 한미 통상 환경은 물론 각국 대미 무역 전략 전반에 영향이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도윤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하워드러트닉#김정관#산업통상자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