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라톤 참가 100만명 시대…안전관리 구멍” 박정하, 문체부 책임론 제기
마라톤 대회 안전관리 부실을 두고 정치권의 공방이 커지고 있다. 국민의힘 박정하 의원은 문화체육관광부의 안전관리 행정 공백을 지적하며, 생활체육의 급속한 확산 속에 사고가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고 경고했다. “마라톤 대회가 국민 생활체육으로 확산하는 만큼 체계적 안전관리는 필수적”이라는 박 의원의 발언이 공개되면서, 문화체육관광부의 소극적 대응에 대한 비판이 국회에서 본격화되고 있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박정하 의원이 10일 경찰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서 개최된 마라톤 대회는 254회, 총 참가 인원은 100만8천122명으로 집계됐다. 2020년 19건에 불과했던 대회는 2023년 205회로 급증했고, 참가자도 2020년 9천30명에서 지난해 73만7천681명 등으로 가파르게 늘었다. 같은 기간 대회 중 1천명 이상 참가한 대규모 행사는 507회에 이르렀으며, 대형화가 뚜렷했다.

그러나 안전사고 역시 크게 증가했다. 2020년부터 올해 9월까지 마라톤 대회에서 발생한 사고는 총 179건으로, 지난해에만 72건이 보고돼 최다치를 기록했다. 참가 인원과 대회수가 늘어난 만큼, 안전사고 관리가 시급하다는 문제의식이 확산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박정하 의원은 “마라톤 대회 안전은 단순한 행사 관리가 아니라 국민의 생명과 직결된 사안”이라며, 문화체육관광부가 안전관리 현황조차 파악하고 있지 못한 현실을 강하게 비판했다. 실제 문체부는 박 의원실 질의에 “1천명 이상 체육행사는 주최자가 안전관리계획을 수립해야 하나, 계획 제출 의무가 없고 안전조치 미이행 적발도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답했다.
지난해 이태원 참사 이후 강화된 국민체육진흥법에도 불구, 1천명 이상 참가 대회에 대한 안전관리계획 제출 의무나 미이행 제재 규정은 없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사실상 안전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국회에서 힘을 얻고 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에서도 대형 스포츠행사 안전관리 강화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는 가운데, 전문가들 역시 생활체육 대중화에 걸맞은 안전 거버넌스 구축을 주문했다. 시민단체 또한 “대회가 계속 커진다면 응급조치·의료인력·시설 확보가 당국의 책임 아래 명확히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라톤 대회 참가가 삶의 일상으로 자리잡은 가운데, 국회는 체계적 관리와 책임 규정 마련을 위한 후속 논의에 본격 돌입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