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 유출 방지 공동전선”…한미, 연구안보 국제 워크숍 개최
첨단기술 보호와 연구안보 강화를 위한 한미 양국 간 공조가 본격화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기술원은 4일 대전 카이스트에서 미국 국무부, 제임스 마틴 비확산 연구센터(CNS)와 함께 한·미 연구안보 국제 워크숍을 공동 개최했다.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이 격화되면서, 양국은 기술 유출 위험 및 연구환경 신뢰 구축의 실효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논의의 장을 마련한 것이다. 업계와 정부는 이번 회의를 첨단산업 안보 생태계 재정립의 첫걸음으로 평가하고 있다.
한미 연구안보 워크숍은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민감기술의 해외 유출 위험을 막고, 신뢰 기반 국제 협력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기획됐다. 연구안보는 단순 보호를 넘어 경제안보와 연계된 핵심 국가 과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워크숍에서 국내 연구안보 정책 방향을 소개하고, 카이스트가 대학 현장에서 시행 중인 모범적 사례를 공유했다. 각국 참석자들은 실제 정책과 현장의 접점을 살피며 국가별 제도 및 대응 프레임워크의 차별화된 특성을 탐색했다.

이번 행사에는 미국의 초당적·비영리 연구기관인 RAND연구소와 주한미국대사관, 국내 연구재단,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무역안보관리원 등 주요 기관들이 참여했다. 또한, 스탠퍼드대 후버연구소 석좌연구원 글렌 티퍼트 박사, 텍사스 A&M대 연구·혁신안보 경쟁력연구소장 케빈 가마치 박사가 글로벌 현안 해결 경험을 공유했다. 기술 보호와 연구환경 신뢰를 동시에 잡기 위한 국제 협력 네트워크 구축이 논의의 핵심으로 부상했다.
특히 한미 양국은 첨단산업 리더십 확보와 동맹 강화를 위한 국가 차원의 연구안보 전략 수립 필요성을 재확인했다. 미국은 이미 대학·연구기관 대상으로 연구안보 훈련과 심사 체계를 강화 중이고, 유럽 또한 이중용도(dual-use) 기술 통제와 협정 준수의 국제 틀을 확립하고 있다.
워크숍 논의 과정에서 데이터 주권, 연구성과 보호, 기술윤리, 국제 표준화, 관리 인프라 등 제도적 이슈가 집중 조명됐다. 연구성과 공유 과정에서의 보안 리스크, 공동연구자 검증, 국제 기술 경쟁 심화 국면에서의 신뢰 기반 구축 방안도 구체적으로 다뤄졌다. 우리 정부는 대학 및 연구기관의 내·외부 보안관리 체계를 한층 고도화하고, 한미 협력 모델을 아시아권 전역으로 확장하는 방안까지 검토할 계획이다.
황성훈 과기정통부 국제협력관은 “이번 워크숍은 미국과의 전략적 연구안보 협력의 새 전기가 됐다”며 “성과 보호와 국제 협력 신뢰 강화를 바탕으로 연구안보 분야 글로벌 연대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산업계는 이번 논의가 실제 R&D 현장에 반영되고, 글로벌 수준 대응 체계로 연결될지 주목하고 있다. 기술과 신뢰, 안보와 국제 협력의 균형이 새로운 성장 구조의 관건으로 부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