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피지컬 AI가 산업 판도 바꾼다”…LG CNS, 로봇 사업 본격 확장
IT/바이오

“피지컬 AI가 산업 판도 바꾼다”…LG CNS, 로봇 사업 본격 확장

권혁준 기자
입력

피지컬 인공지능(Physical AI)이 산업용 로봇 시장의 판도를 바꿔놓고 있다. LG CNS는 로봇 전환(RX) 사업을 중장기 성장축으로 삼아, 산업 현장 전반에 적용 가능한 휴머노이드 및 자동화 로봇 솔루션 개발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업계는 이번 행보를 '피지컬 AI 주도권 경쟁의 분기점'으로 평가하고 있다.

 

LG CNS는 올 6월 미국 AI 로봇 기업 스킬드AI와 국내 최초 전략적 협력 계약을 맺었다. 스킬드AI의 핵심 기술인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RFM)은 이미지, 텍스트, 음성 등 다양한 데이터를 학습해 로봇이 자율적으로 환경을 인식하고 물체를 조작하며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게 하는 범용 AI 엔진에 해당한다. 이 모델은 특정 산업용 로봇만이 아니라 무인로봇, 휴머노이드 등 모든 형태의 로봇에 탑재할 수 있다는 점도 큰 강점이다.

LG CNS는 제조·물류 고객사 현장을 대상으로 이 RFM 기반 '산업용 휴머노이드 로봇 솔루션'을 개발, 실제 업무 데이터를 활용한 개념검증(PoC)을 이미 시작했다. 기존에는 각 업무별로 맞춤 모델과 통제 로직을 일일이 개발해야 했지만, RFM 솔루션은 산업현장의 사진·영상 데이터만으로 빠르게 학습해 자율로 동작한다. 반복적이거나 위험한 업무에도 투입이 가능하고, 도심 서비스로봇으로도 활용 여지가 대폭 넓어졌다.

 

특히 이번 기술은 기존 정형화된 로봇 솔루션의 한계를 뛰어넘은 점이 주목된다. 예를 들어 휴머노이드 로봇은 설비 점검, 제품 조립, 유해물질 처리 등 공장 기반 고난도 작업은 물론, 추후에는 돌봄·보안 등 스마트시티 분야로도 서비스를 확장할 수 있다. LG CNS는 스킬드AI와의 RFM 협력 외에도 자체 로봇 통합 운영 플랫폼과 하드웨어 개발능력을 결집해, 스마트팩토리·물류·시티에 걸친 'AI 휴머노이드 로봇 통합 서비스'라는 생태계를 구축 중이다.

 

로봇 하드웨어 영역에서도 기술 초격차를 모색 중이다. '3D 모바일 셔틀' 등 창고 자동화 특화 로봇을 자체 개발해 LG에너지솔루션 실제 창고에 도입했다. 해당 셔틀은 상하좌우 4방향 이동이 가능해 기존 대비 공간 활용은 물론, 효율성도 대폭 향상됐다. 여기에 수학적 최적화 기술을 적용, 물류 운영 효율을 극대화하고 창고의 이용 면적은 20% 이상 절감하는 효과를 냈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이미 AI로봇과 휴머노이드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다. 미국, 일본, 중국도 AI 기반 로봇의 현장투입과 서비스화를 확대하고 있으며, 2035년 53조원까지 성장할 시장을 두고 속도 경쟁이 치열하다. LG CNS도 경쟁력 있는 하드웨어와 AI 융합을 위한 글로벌 협력, 자체 플랫폼 개발에 힘을 싣고 있다.

 

업계는 향후 피지컬 AI 시대에 산업용 로봇의 상용화가 제조, 물류, 도시 생활 등 전방위로 확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AI 기반 산업용 로봇은 비정형·고강도 작업의 자동화와 산업안전 수준 제고에 기여한다”며 “기술 상용화 속도가 산업 전환의 핵심 변수가 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산업계는 이번 기술이 실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

권혁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lgcns#스킬드ai#피지컬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