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전기차 화재 진압법 숙련도 절실”…경남소방본부 현장 대응 강회→안전기준 재정립

조현우 기자
입력

국내 자동차 등록 대수는 6월 기준 2천640만대를 넘어섰으며, 그중 전기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아직 77만대에 머무르고 있다. 그러나 배터리 기술의 고도화와 친환경 모빌리티 확대 기조에 힘입어 전기차 보급이 가파르게 늘며, 그에 따른 화재 리스크 역시 산업계와 공공안전에 심대한 과제로 부상했다. 전기차 배터리 화재는 기존 내연기관 차량에서 흔히 적용되는 외부 살수 방식으로는 통제가 극히 어렵기에, 소방·항만 등 현장 대응체계의 정밀한 업그레이드가 요구된다.

 

경남소방본부 및 마산지방해양수산청은 최근 실제 전기차 화재 상황을 가정한 합동훈련을 통해 특수 대응능력 확보에 주력했다. 경남119특수대응단이 주도한 이번 훈련에는 관내 18개 소방서, 160여 명 구조대원이 참가해 이동식 수조, 하부관창, 질식소화포 등 전문 장비 운용 숙련을 집중적으로 익혔다. 실전에서는 차량 전체를 수조에 침수시켜 열폭주(Re-ignition)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배터리 하부에 직접 약제를 분사하는 기술이 중요한 대응 수단으로 부각된다. 일반 소방관이 전기차 안전규격에 맞는 절연장갑, 절연화 착용을 필수적으로 이행해야 함도 강조된다.

전기차 화재 진압법 숙련도 절실…경남소방본부 현장 대응 강회→안전기준 재정립
전기차 화재 진압법 숙련도 절실…경남소방본부 현장 대응 강회→안전기준 재정립

전문가들은 전기차 화재의 임계점은 배터리 내부의 급격한 온도상승, 즉 열폭주 현상에 있다고 분석한다. 출처에 따르면, 배터리 팩을 직접 냉각‧질식하지 않을 경우 재발화 가능성이 상존하며, 이에 따라 단일 사고 건도 복합 재해로 발전할 소지가 높다. 경남119특수대응단은 전문장비 확보 및 진화법 숙련이 화재현장 안전의 촉매가 된다는 점을 역설하며, 전국 단위 확대와 대응매뉴얼 고도화가 시급하다고 진단했다. 산업 패러다임이 급변하는 시점에서 적극적 정책 지원과 현장대응 역량 제고가 전기차 시대 핵심 안전담론으로 부상하고 있다.

조현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전기차#경남소방본부#화재진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