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AI시장 선도 총력"…김민석 총리, 한미협상 성과·10조 예산 강조
정책 경쟁과 기술 패권 다툼이 격화된 가운데 국무총리실이 인공지능 전략을 정국 전면에 올려놨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글로벌 AI 시장 주도권과 대규모 투자, 한미 협력 성과를 잇달아 언급하며 정부의 AI 구도를 재차 부각했다.
김 총리는 19일 서울 시내 한 호텔에서 열린 2025 중앙포럼 축사에서 "글로벌 AI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AI 시대에 대응하는 국가 리더십의 성격을 먼저 짚으며 기술과 외교, 안보를 아우르는 접근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 총리는 "AI 시대의 새로운 리더십은 기술 혁신을 앞당기는 측면뿐만 아니라 사람과 사람, 나라와 나라 사이의 연대와 협력을 이끌어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경쟁은 심화하는데 역설적으로 새로운 키워드는 '연결'"이라며 "공동 번영, 안보, 평화의 문제가 다 맞닿아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회의에서 채택된 AI 이니셔티브를 거론하며 한국의 역할 확대를 예고했다. 김 총리는 "경주 APEC에서 채택된 AI 이니셔티브는 대한민국의 글로벌 AI 리더십을 뒷받침할 중요한 토대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국제 규범과 협력 틀 속에서 한국이 주도권을 확보해야 한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재정 투입 계획도 구체적으로 언급됐다. 김 총리는 "내년 예산안에는 인공지능 3대 강국 대전환의 비전을 담고 그 마중물이 될 10조 원 규모 예산을 담았다"고 밝혔다. 이어 "'모두를 위한 AI' 비전 아래 누구도 AI 대전환에서 소외되는 분들이 없도록 힘쓸 것"이라고 덧붙였다. AI 인프라 확충과 인력 양성, 지역·계층 간 격차 완화를 동시에 추진하겠다는 의미다.
한미 경제 협력과 대기업 투자 계획도 연결했다. 김 총리는 "한미 관세협상이 타결됐고 그 과정에 정부와 대기업이 참으로 다른 나라들이 찬탄할 정도의 협력을 했다"고 말했다. 그는 "그 결과 대기업들은 반도체, AI 인프라 등 핵심 산업 분야에 대규모 투자를 약속하기도 했다"고 짚었다. 한미 통상 협상 성과가 국내 첨단산업 투자 확대와 AI 생태계 강화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을 부각한 셈이다.
김 총리는 AI 시대를 맞는 정책 방향에 대해 "정부는 기업, 학계 그리고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력해 AI 혁명의 시대에 더 큰 도약을 이뤄내도록 앞장서겠다"고 역설했다. 국무총리실은 향후 예산 심사 과정과 한미 경제 협력 채널을 바탕으로 인공지능 산업 지원과 규범 논의를 본격화한다는 방침이다. 정치권도 내년도 예산안 심의 과정에서 AI 투자 방향과 재원 배분을 두고 치열한 공방을 벌일 것으로 전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