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상호관세 시한폭탄 이틀 앞”…여한구, 유예 연장 협상 총력
상호관세 유예 시한이 이틀 앞으로 다가오면서 한국과 미국 간 통상 협상이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직접 미국 워싱턴DC로 급파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행정부와 협상에 돌입했으며, 양국 간 고율 관세 부과 여부를 둘러싼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미국 행정부가 준비 중인 '관세 서한'이 12개국에 발송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한국이 명단에 포함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5일(현지시간) 여한구 본부장은 워싱턴 DC에서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 대표와 긴급 회동을 가졌다. 그는 미국 측에 "보다 내실 있는 협상을 위해 상호관세 유예를 연장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협의했다"고 밝혔다. 여 본부장은 트럼프 행정부가 제조업 부활을 주요 기조로 삼는 점을 고려해, 자동차와 철강·알루미늄 품목 등 한미 제조업 협력 로드맵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최종 합의 시 경쟁국과 비교한 관세 완화, 비관세장벽 관련 디지털 규제 완화 등도 주요 협상 의제가 됐다.

협상의 주된 목표는 관세 유예 연장에 있다. 정부와 업계는 "한국 새 정부 출범 한 달 만에 양국 협상이 완전히 타결되기 어렵다"는 신중론을 보이며 한미 간 협상 시간 확보가 절실하다고 밝혔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상호관세 부과 유예가 연장되지 않을 가능성, 이른바 '최악의 시나리오'도 우려하고 있다. 만약 7일 이후 한국이 미국의 관세대상국에 포함되면, 당장 고율 관세를 맞으며 협상장에 들어서야 한다.
통상 전문가들은 미국이 협상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일 뿐 상호관세 부과가 협상 종결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지적했다. 허윤 서강대 교수는 "미국 입장에서 제조업 강국 한국의 역할은 결코 작지 않다"고 진단하며,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 수준의 조건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 단계에서 정부 역시 상호호혜적 결실을 위한 협상 패키지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미국의 대중 견제 전략과 첨단 제조업 협력을 감안하면 한국은 협상에서 영향력을 키울 여지가 있다는 진단도 이어진다.
한국 정부는 남은 시간 동안 양국의 추가 협의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관세협상과 제조업 협력 의제를 더 세밀하게 조율하면서, 최종적으로 관세 충격 없이 협상을 이어갈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