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안정감 전원 물갈이 파장”…경찰 고위직 승진 인사, 전 정부 내정자 ‘강등’ 논란
경찰 고위직 인사를 둘러싼 긴장감이 최고조에 달했다. 치안정감 7자리가 전원 교체되는 이례적 조치와 더불어 박현수 서울경찰청장 직무대리가 승진 내정자 명단에서 제외돼 사실상 ‘강등’ 처분을 받으면서 정치권과 치안 조직 내 파장이 거세지고 있다.
12일 정부는 경찰청장(치안총감) 바로 밑 직급인 치안정감 7자리를 전면 교체하는 2차 고위직 승진 내정 인사를 단행했다. 유재성 경찰청 차장과 박성주 국가수사본부장이 지난 6월 이미 승진한 데 이어, 이날 한창훈 경찰청 생활안전교통국장, 박정보 경찰인재개발원장, 김성희 경남경찰청장, 황창선 대전경찰청장, 엄성규 강원경찰청장 등 5명이 추가로 발탁됐다.

이번 인사에서 지역 안배와 입직 경로의 균형도 눈에 띈다. 호남 출신은 한창훈, 박정보 등 2명, 영남, 수도권, 제주 출신이 각각 1명씩 포함됐다. 앞서 승진한 유재성, 박성주까지 합산하면 호남 출신이 3자리를 차지하고, 나머지 지역에 각 1자리가 돌아갔다. 경찰대 출신은 4명, 간부후보 출신은 3명으로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였다.
경찰 고위 관계자는 “지역에 대한 배려와 정치색이 옅은 무난한 인사가 이루어졌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가장 큰 관심은 명단에서 ‘탈락’한 박현수 서울경찰청장 직무대리에게 쏠리고 있다. 박 직무대리는 지난 2월 탄핵정국 당시 치안정감 승진 내정자였으나, 7개월 만에 명단에서 빠지며 치안감으로 사실상 강등됐다.
경찰 안팎에서는 승진 내정 취소가 전례 없는 초강수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박 직무대리는 헌법재판소 탄핵 심판 당시 경비 작전을 성공적으로 마쳐 유혈 사태를 막았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윤석열 정부 대통령실 근무 경력, 행정안전부 경찰국장 시절 계엄 연루 의혹 등 ‘윤 정부 인사’라는 점이 인사 배제 사유로 작용했다는 해석이다.
치안감 자리를 비롯한 후속 보직 배치가 주말께 발표될 예정인 가운데, 박 직무대리가 서울경찰청장 참모 등 보직으로 이동하는 등 체면을 구길 가능성이 제기된다. 그는 현재 특검 수사에서 참고인이지만, 일부 시민단체의 고발로 피고발인 신분이라 자진 사퇴가 불가능하다는 점도 인사 논란을 더하고 있다.
이번 치안정감 전원 교체로 경찰과 정치권은 복잡한 셈법에 빠졌다. 상대적으로 중립적 인사라는 평가와 ‘윤 정부 꼬리표’ 달린 인사 배제 논란이 맞물리며, 향후 경찰 내부 기류와 정국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경찰 고위층 재편 이후, 후속 보직 인사와 치안 정책 방향에도 정치적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