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4차 발사 성공 축하”…민주당 대전시당, 과학수도 대전 역할 강조
우주 개발 주도권을 둘러싼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대전광역시당과 과학수도 대전의 위상이 맞붙었다.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II) 4차 발사 성공이 대전 지역 정치권의 과학·우주산업 지원 공약과 맞물리며 새로운 정치적 화두로 떠오르는 모양새다.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은 27일 논평을 내고 전날 이뤄진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4차 발사 성공을 축하했다. 시당은 논평에서 “대한민국 우주산업의 새로운 장을 연 누리호 4차 발사 성공을 국민과 함께 진심으로 축하한다”고 밝혔다. 누리호 4차 발사는 한국형 발사체의 기술 안정성을 점검하는 시험이자, 향후 상업 발사와 민간 참여 확대를 위한 관문으로 평가된다.

민주당 대전시당은 특히 누리호 사업과 대전 지역의 과학 인프라를 긴밀히 연결했다. 시당은 “민간이 주도하는 뉴 스페이스 시대의 본격적인 개막을 알렸다”며 “이 모든 성취는 과학수도 대전의 저력이 든든하게 뒷받침한 결과로, 발사를 총괄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필두로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연구기관과 기업들이 쏟아부은 땀과 열정이 우주를 향한 대한민국의 길을 열었다”고 평가했다.
이어 대전 지역 연구진에 대한 지원 의지를 강조했다. 시당은 “당은 연구자들이 연구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예산 확보와 제도적 기반 마련을 돕겠다”고 밝혔다. 연구 현장의 행정 부담과 불안정한 예산 구조를 개선해 성과를 극대화하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민주당 대전시당은 또한 누리호 성과를 지역 발전 전략과 연결했다. 시당은 “과학수도 대전 완성으로 지역발전을 이끌고, 나아가 글로벌 우주산업의 중심으로 우뚝 설 수 있도록 역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우주산업을 축으로 한 대전 지역 경제 활성화, 그리고 국가 우주 전략 거점으로서의 위상 강화 의지를 동시에 드러낸 셈이다.
정치권에선 누리호 4차 발사를 계기로 국가 우주항공청 설립, 대덕특구 기능 재편, 민간 우주기업 육성 정책 등에 대한 논의가 속도를 낼 것으로 관측된다. 국회는 향후 관련 예산과 법·제도 논의를 이어가며, 과학기술 중심 도시 대전의 역할을 둘러싸고 여야 공방과 협의를 병행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