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응암동 괴담 실체, 미라 시신 발견 순간”…꼬꼬무, 출연진 얼어붙은 표정→충격의 진실 어디까지
엔터

“응암동 괴담 실체, 미라 시신 발견 순간”…꼬꼬무, 출연진 얼어붙은 표정→충격의 진실 어디까지

배주영 기자
입력

따뜻한 감정이 번지던 이야기 한가운데, 갑작스레 드러난 진실은 출연자들의 표정을 얼어붙게 만들었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가 다루는 응암동 시멘트 살인사건은 평범한 일상 뒤에 숨어 있던 극단의 절망과 인간 심연의 어두움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며 시청자들에게 깊은 충격을 심어줬다. 한 건물에 드리운 공포와 연달아 이어진 죽음에, 출연자들은 한동안 말을 잇지 못할 정도로 진지하게 사건의 의미에 몰입했다.

 

1997년 응암동, 1200만원 채무관계에서 비롯된 개인적 갈등은 돌이킬 수 없는 악몽이 됐다. 돈을 받으러 온 이모 씨를 단숨에 쇠파이프로 가격해 숨지게 한 뒤, 시신을 비닐로 싸고 지하실에 밀폐한 다음 시멘트 벽돌과 모래로 완벽히 봉인한 지 씨의 범행은 그 치밀함과 냉혹함으로 출연진을 경악케 했다. 무엇보다 시신이 발견되기까지 5년간 세상과 철저히 단절된 채 방치됐다는 점은, 은폐와 방치의 상징처럼 남게 됐다.

SBS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꼬꼬무)
SBS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꼬꼬무)

2002년, 무심한 공사의 곡괭이질이 시멘트 속 미라처럼 말라버린 시신을 드러냈다. 평범한 집주인의 손끝에서 세상에 드러난 진실은 한 순간에 충격과 두려움으로 번졌다. 경찰은 지문으로 신원을 확인했고, 끝내 범인을 붙잡았다. 사건의 기이함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첫 세입자의 자살, 암으로 세상을 떠난 두 번째 세입자, 그리고 교통사고와 질병으로 숨진 공장 종업원들까지. 연이어 쌓이는 비극이 끝내 ‘응암동 괴담’이라는 소문을 낳았다.

 

방송에서는 누적된 죽음이 과연 우연일지, 아니면 무언가 설명할 수 없는 흐름의 결과인지 깊은 질문을 던졌다. 출연자들은 과학적 접근과 미신적 해석 사이에서 조심스럽게 균형을 잡으려 했으나, 동시에 오싹함을 감추지 못했다. 사건의 여운은 건물 주인 역시 피해갈 수 없었다. 2년간 무료로 살아도 좋다는 조건임에도, 빈집은 6년동안 채워지지 않았다. 결국 그 건물은 재개발과 함께 사라졌고, 지역사회에 남긴 상흔만 더욱 깊게 새겨졌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는 참혹한 비극의 이면에서 현대인의 고독과 경제적 위기, 그리고 은폐된 진실이 결국 세상에 드러나는 순간의 의미를 짚었다. 이날 출연자들은 절망이 더 큰 비극으로 번져가는 과정, 그 운명의 아이러니와 사회적 단면을 진지하게 되짚었다. 어떤 진실도 영원히 지하실에 묻힐 수 없음을 시사하는 이 사례는, 그날의 응암동에서 긴 시간 끝에 빛을 문 밖으로 던진다.

 

이 프로그램은 31일 목요일 밤 10시 20분, SBS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에서 ‘응암동 괴담’ 지하실 시신의 실체를 통해 방영될 예정이다.

배주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꼬리에꼬리를무는그날이야기#응암동시멘트살인#출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