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인구 숫자 더 정확하게 추산”…통계청, 인구예측 새모델 본격 추진
통계청이 인공지능(AI) 도입을 통한 인구 추계 정확도 개선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출생률 변동, 국제 이동과 같은 기존 변수 외에 결혼 건수와 사회경제적 요인까지 반영하는 새 예측 방식을 모색한다.
10일 통계청과 조달청 나라장터에 따르면 통계청은 최근 ‘AI 활용 인구추계 방법론 연구’ 용역을 공고하고, 장래인구추계 모델 개선을 위한 본격적인 연구에 착수했다. 이번 과제는 해외 연구 동향과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국내 현실에 맞춰 인공지능 기반 추계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 핵심이다.

기존 장래인구추계는 출생, 사망, 국제이동 변화 등 기본 요인 위주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결혼 건수, 사회경제활동, 코로나19 같은 외부 충격까지 인구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고, 이런 요인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이번 연구에서는 결혼 추세 같은 사회적 데이터를 활용해 미래 출생아 수 등 인구 예측에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될 예정이다.
통계청이 2~3년 주기로 발표하는 장래인구추계는 정책 수립의 핵심 지표로 쓰인다. 하지만 최근 합계출산율, 국제순이동 등 주요 수치가 예측치와 크게 어긋나는 양상이 반복되고 있다. 실제로 2023년 12월 통계청이 내놓은 ‘장래인구추계: 2022~2072년’에 따르면 지난해 합계출산율을 0.68명으로 전망했으나, 혼인 건수 급증 등의 영향으로 실제 수치는 0.75명까지 올랐다. 올해 역시 0.80명 선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통계청 관계자는 “인구변동 요인이 다양해지는 만큼, AI 기술을 접목해 인구 예측의 오차를 최소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기존 전통적 통계모형의 정확도 저하를 보완하고, 사회 변화에 더욱 민감하게 대응하는 것이 목표다.
인구 추계가 실질적 정책 결정의 기초 자료인 만큼, AI 기반 모델이 얼마나 현실에 가까운 예측치를 제시할 수 있는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한편, 관련 연구는 앞으로 2~3년간 단계별로 추진될 예정이며, 여러 사회단체와 학계에서도 AI 인구추계 알고리즘의 투명성과 윤리적 관리에 대한 논의가 뒤따를 전망이다.
통계청은 “최대한 빠르게 연구 결과를 실무에 반영하겠다”며 “정확한 인구 전망 정보 제공을 통해 저출산·고령화 등 국가적 위기 대응에도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AI 인구추계가 기존 한계를 넘어설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