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영업이익 7억7천만원”…포스코퓨처엠, 배터리 부진에도 흑자 유지
포스코퓨처엠이 2분기 영업이익 7억7천만원을 기록하며 시장의 영업손실 우려를 넘어섰다. 주력인 배터리 소재 사업 부진에도 기초소재 부문이 성과를 내며 두 분기 연속 흑자를 유지했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대중 무역제재에 따른 반사이익과 원료 국산화 추진이 하반기 실적 개선의 관건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포스코퓨처엠은 18일 2분기 연결 기준 잠정실적을 공시했다. 매출은 6,609억원, 영업이익 7억7천만원, 순손실 355억원을 나타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보다 71.7% 줄었고 매출 역시 27.8% 감소했다. 그러나 전 분기 172억원에 견줘 수익성이 다소 하락했음에도 증권사의 영업손실 예상치(65억원 적자)를 웃돌았다.

사업 부문별로는 에너지 소재(배터리 소재) 부문에서 255억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양극재 판매량이 고객사 수요 둔화로 감소했고, 2분기 가동을 시작한 광양 전구체 공장의 초기 비용 발생 및 재고평가손실이 실적 하락을 야기했다. 반면 기초소재 부문은 263억원의 영업이익을 내며 실적을 방어했다. 플랜트 매출 및 라임·화성 부문의 설비 효율화, 판매 확대 영향이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업계에서는 포스코퓨처엠의 원료 자급 체계와 미국 통상정책 변화에 주목하고 있다. 최근 4만5,000t 규모 광양 전구체 공장 준공으로 국산화 속도가 가속화됐고, 17일 미국의 중국산 흑연 93.5% 반덤핑 관세 예비 판정은 음극재 대량 생산 역량을 가진 포스코퓨처엠에 기회 요인으로 평가된다.
회사 측은 하반기 광양 전구체 공장 본격 양산에 따라 수익성 개선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증권가 역시 양극재 수요 회복 여부, 광양 공장 효율성 개선, 미중 무역정책 영향에 투자자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전망했다.
시장에서는 주요 배터리 소재 실적과 미국 등 해외 정책 변화를 연계한 포스코퓨처엠의 하반기 실적 추이에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