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여사 논문·조국 자녀 특혜 의혹 국감 도마에”…국회 교육위, 국민대 이사장·고려대 총장 등 증인 채택
정치권의 교육 현안 충돌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국회 교육위원회가 김건희 여사 논문 표절 의혹과 조국 조국혁신당 비상대책위원장의 자녀 특혜 등 교육계 핵심 쟁점을 두고 치열한 국정감사 준비에 나섰다. 이날 채택된 증인 명단에는 김지용 국민대학교 이사장과 김동원 고려대 총장, 그리고 신문규 전 대통령실 교육비서관 등이 포함됐다.
23일 오후 국회 교육위원회는 전체회의를 열고 내달로 예정된 국정감사 증인으로 일반증인 8명, 참고인 2명을 채택했다. 이번 명단에는 김건희 여사의 논문 표절 의혹과 관련해 논란의 중심에 선 김지용 국민대 이사장이 포함됐으며, 더불어민주당은 김 이사장을 상대로 표절 의혹 진상 규명을 집중 추궁하겠다는 입장이다.

국민의힘은 조국 조국혁신당 비상대책위원장의 자녀 관련 특혜 의혹 검증을 중점적으로 다룰 계획이다. 이에 따라 김동원 고려대 총장을 증인으로 불러 사실관계 확인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밝혔다.
신문규 전 대통령실 교육비서관은 윤석열 정부 당시 교육복지늘봄지원국장에게 보수성향 교육단체 관련 청탁 압박 의혹이 불거진 상태다. 민주당은 신 전 비서관을 증인으로 소명할 것을 주문하며, 교육행정의 정치적 중립성 문제도 거론할 전망이다.
이날 여야는 지난 6월 부산에서 발생한 여고생 3명 사망 사건과, 지난해 10월 인천의 한 초등학교 특수교사 사망 사건 등 사회적 파장이 컸던 교육 현안 관련 인물도 증인 명단에 올렸다. 부산 사고 관련 해당 학교 교장이, 인천 사건과 관련해 인천시교육청 장학사 한 모 씨가 각각 채택됐다.
여야는 이번 국정감사에서 교육계의 만연한 특혜 문제와 거버넌스 논란, 그리고 교육 현장에서 드러난 구조적 문제 등을 정면으로 겨루겠다는 태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교육위 국감은 예년보다 치열한 공방이 예고되며, 각 쟁점에 대한 진상 규명과 대책 마련이 주요한 분기점이 될 전망이다.
국회 교육위원회는 이번 증인 채택을 계기로 내달 국정감사에서 김건희 여사 논문 표절, 조국 자녀 특혜, 교육행정 청탁 의혹 등 민감 사안을 본격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정쟁과 해묵은 논란을 해소할 실질적 진전이 있을지 정치권 안팎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