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김윤덕·최휘영 장관 후보자 청문보고서 채택”…적격·부적격 엇갈린 평가 병기
정치권이 김윤덕 국토교통부·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를 둘러싸고 이견을 보인 끝에 국회가 인사청문 경과보고서를 여야 합의로 채택했다. 적격과 부적격 여부를 두고 공방이 이어지는 가운데, 각 상임위는 장단점이 병기된 보고서를 내놓았다.
7월 30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위원회는 각각 전체회의를 열고 김윤덕 후보자와 최휘영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 경과보고서를 별도 반대 없이 의결했다. 청문보고서에는 후보자별로 적격 의견과 부적격 의견이 동시에 명기됐다.

김윤덕 후보자에 대해서는 3선 의원과 더불어민주당 사무총장 출신의 경력, 풍부한 정치 활동 경험이 ‘지역 균형발전 정책의 적임자’라는 긍정 평가로 제시됐다. 그러나 인사청문 과정에서 자료 제출이 미흡하고, 전문성을 충분히 보여주지 못했다는 지적이 함께 담겼다. 보고서는 "정책 역량을 높이 평가한다"는 일부 위원 의견과 더불어 "자료 제출 부실 및 전문성 부족"이라는 부정적 평가도 동시에 포함됐다.
최휘영 후보자에 대해서는 NHN 대표 등 민간에서 쌓은 기획력과 현장 경험이 ‘문화정책에 새로운 접근을 시도할 수 있다’는 긍정적 점으로 보고서에 기록됐다. 다만 자료 제출 미비와 더불어 장녀의 네이버 미국 자회사 취업 관련 소명 미흡 등 도덕성 및 투명성 문제도 부각됐다. 문체위는 "민간 전문성을 문화행정에 접목시킬 수 있다"면서도 "자녀 취업 논란 설명 부족"을 주요 논점으로 병기했다.
여야는 두 후보자를 놓고 자질 및 도덕성, 자료 제출을 둘러싸고 팽팽히 맞섰다. 여당은 후보자들이 갖춘 실무 능력과 현장 경험, 정책 추진력을 강조했으며, 야당 측은 해명 부족과 자질 논란, 도덕성 문제를 주된 문제로 지적했다. 상임위 논의 과정에서 일부 의원들은 "장관직 수행 적합성에 대해 우려가 남는다"고 입장을 밝혔다.
청문보고서가 여야 합의로 채택됨에 따라 향후 임명 권한은 대통령에게 넘어가게 됐다. 당장 임명 여부와 관련해 정치권의 논쟁도 이어질 전망이다. 국회는 이날 두 후보자에 대한 최종 청문보고서를 정부에 송부하며 인사청문 절차를 공식 마무리했다. 등록된 보고서는 대통령의 장관 임명 결정에 중요한 참고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