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아버지 유해 찾은 것이 어머니의 평생 소원”…고 조종호 이등상사, 72년 만에 가족 품으로
정치

“아버지 유해 찾은 것이 어머니의 평생 소원”…고 조종호 이등상사, 72년 만에 가족 품으로

신유리 기자
입력

전쟁과 이별의 아픔을 품었던 가족의 소원이 마침내 이루어졌다. 6·25전쟁에 참전했던 국군 제7사단 고 조종호 이등상사(현 계급 중사)의 유해가 72년 만에 가족의 품으로 돌아왔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은 지난해 11월 강원도 철원 일대에서 발굴된 유해가 고 조종호 중사임을 확인했다고 23일 밝혔다.

 

고 조종호 중사는 1950년 12월 입대한 후 강원도 평창군 하진부리·양구군 백석산·크리스마스고지·선우고지 등 치열했던 전투 현장을 누비며 수차례 죽음의 고비를 넘겼다. 그러나 1953년 7월 25일, 정전협정을 불과 며칠 앞두고 적근산-삼현지구 전투에 나섰다가 25세 젊은 나이에 전사했다. 당시 국군 제7·11사단은 중공군의 공세를 막아내고 반격에 성공하는 등 치열한 공방을 벌였다.

고인의 전공은 전후 1954년 화랑무공훈장으로 증명됐다. 하지만 가족들은 그의 귀환을 목놓아 기다려야 했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은 "유해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었던 데는 아들의 집념이 가장 크게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아들 조정원 씨는 2009년 4월 보건소를 찾아 유전자 시료를 제출했으며, 그의 어머니 고 권막분 여사는 생전 남편의 유해를 찾는 것이 평생의 소원이자 바람이었다.

 

권 여사는 2019년 세상을 떠나 국립서울현충원 충혼당에 안치됐으나, 남편의 유해가 이번에 확인되면서 현충원 합장이 성사됐다. 투병 중임에도 조정원 씨는 "어머니 평생소원대로 아버지의 유해를 찾게 돼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기쁨을 느낀다"며 국가에 감사를 전했다.

 

고 조종호 중사의 귀환 행사에서는 유가족들에게 참전 과정과 유해 발굴, 신원확인 경과가 자세히 전달됐다. 국유단은 신원확인 통지서와 호국영웅 귀환 패, 유품 등이 담긴 '호국의 얼 함'도 유가족에게 손수 전달했다.

 

정치권과 국방부는 “최후의 한 분까지 반드시 가족 품으로 모신다”는 약속을 재확인했다. 국방부는 앞으로도 미확인 전사자 유해 발굴과 신원 확인 노력을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

신유리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조종호#현충원합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