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상 수상에 문화예술계 현장은 척박”…조국, 창작자 사회안전망 시급성 강조
한국문학을 대표하는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1주년을 앞두고 정치권에 문화예술 정책 논쟁이 다시 불붙었다. 조국혁신당 조국 비상대책위원장은 8일 “문화예술인들을 위한 맞춤형 사회안전망 구축이 절실하다”고 강조하며 창작 환경 개선을 촉구했다.
조국 위원장은 이날 페이스북 글에서 “노벨문학상 수상을 계기로 세계는 한국문학을 바라보는 시선이 달라졌다. 하지만 문화예술계의 현실은 여전히 척박하다”고 진단했다. 이어 “많은 문학인이 생계를 위해 다른 경제 활동을 병행하는 실정”이라며 창작자 지원 체계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조 위원장은 “진정한 문화강국은 창작자들이 창작에만 전념할 수 있는 세상”이라며 분명한 정책 방향성을 제시했다.

조국 위원장은 “일시적 생활 지원을 넘어서 창작활동이 지속될 수 있는 토대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국회와 정부는 문화예술인이 가난하기 마련이라거나 가난이 창작의 힘이라는 말을 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향후 혁신당의 정책 목표인 ‘사회권 선진국’에 ‘문화권’ 개념을 포함시키겠다며, “문화예술 혜택에서 소외되는 국민이 없도록 평등한 문화 향유의 기반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러한 비전에 공감하면서도, 예산 배분과 정책 우선순위에서 현실적 장애가 여전하다는 신중론도 제기됐다. 그러나 현장 문인들과 예술계 인사들은 오히려 “국가가 나서야 할 문제”라며 정부 지원 필요성을 거듭 호소하고 있다. 일부 문화정책 전문가들도 “노벨문학상 수상 등 세계적 쾌거에도 예술 현장의 빈곤 문제가 반복되는 것은 구조적 한계”라고 평했다.
조국 위원장은 “앞으로 창작자들을 만나며 의견을 경청하려고 한다”며, “한강 작가의 노벨상 수상이 국민 모두의 문화권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도 밝혔다.
국회와 정부는 앞으로 문화예술 분야 사회안전망 확대와 관련 입법 정책을 놓고 논의를 이어갈 전망이다. 정치권은 한강 노벨상 수상을 계기로 창작자 현실 개선에 실질적 해법을 내놓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