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AI 슈퍼앱으로 재도약”…카카오, 챗GPT 연동 신기능 공개 예고
IT/바이오

“AI 슈퍼앱으로 재도약”…카카오, 챗GPT 연동 신기능 공개 예고

오태희 기자
입력

카카오가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한 ‘AI 슈퍼앱’ 전략을 본격화하며 국내 플랫폼 시장의 패러다임 전환을 주도하고 있다. 카카오톡 출시 15년 만에 기존 메신저의 틀을 넘은 AI 소셜 플랫폼으로 진화하는 데 더해, 오픈AI와의 협업 결과물이 공개될 예정이다. 업계는 이번 발표를 토종 IT기업의 AI 플랫폼 경쟁을 가르는 분기점으로 보고 있다.

 

23일부터 카카오는 경기도 용인 카카오 AI 캠퍼스에서 연례 컨퍼런스 if(kakao)25를 개최, 카카오톡의 AI 기반 대개편 전략을 대외에 밝혔다. 올해 컨퍼런스의 최대 관심사는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 서비스의 카카오톡 탑재 및 ‘에이전틱 AI’ 기반 소셜 커뮤니티 전환이다. 카카오톡은 채팅창 내에서 챗GPT 검색과 요약 등 AI 기능을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중심으로 업그레이드를 추진하고 있다.

카카오의 개편안은 기존 메신저에서 벗어나 친구 탭을 ‘소셜 피드’로 전환, 생일 알림이나 미디어 콘텐츠 공유를 한눈에 볼 수 있게 확장했다. 핵심은 AI가 이용자 일상에 깊숙이 들어와 실질적인 ‘친구’ 역할을 하는 것이다. 5,000만 명에 달하는 이용자들이 챗GPT 등 AI 에이전트를 자연스럽게 활용하도록 설계됐다. 기존 프로필 기반의 소셜 커뮤니티 성격이 더욱 강화되며, 외국계 SNS에 흘러가던 일상 콘텐츠도 플랫폼 내부로 재유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오픈AI와의 전략적 제휴 성과에도 업계 이목이 집중된다. 카카오는 올해 2월 국내 기업 최초로 오픈AI와 협력관계를 본격화한 바 있다. 이번 기조연설에서는 챗GPT 검색·요약 및 실시간 대화 결과물 공유, 자체 서비스와 연동되는 AI 에이전트 등 새 기능이 공식 발표됐다. 기존 챗GPT 사용성에 카카오의 국내 데이터와 서비스들이 결합되면서, 카카오톡 선물하기·지도·캘린더 등 여러 앱과 AI가 직접 연결된다는 점이 차별화 포인트로 꼽힌다. 향후 모빌리티, 페이먼트, 외부 서비스로의 생태계 확장 가능성도 제시됐다.

 

카카오는 자체 개발 AI 모델인 카나나 2.0의 고도화 전략도 공개했다. 카나나는 거대언어모델(LLM)은 물론 멀티모달, 음성, 이미지 생성 모델을 포괄하는 종합 AI 패밀리로, ‘에이전틱 AI’ 시대에 최적화돼 있다. 온디바이스 AI 기술, 자체 PlayMCP 플랫폼을 활용한 에이전트 고도화와 지속적인 서비스 내재화가 강점으로 꼽힌다. 카카오는 플랫폼-모델-생태계 3박자를 모두 보유한 국내 유일 사업자임을 강조했다.

 

글로벌 메신저 시장에서는 미국 ‘왓츠앱’ 등도 챗GPT와 유사한 AI 기능 도입을 가속화하는 추세다. 일부 유럽과 미국 빅테크의 경우 지속적인 AI 챗봇 통합, 대규모 서비스 연동으로 사용자 체류 시간과 전환율을 끌어올리고 있다.

 

아직 국내에서는 AI 기반 서비스의 활용 범위나 데이터 규제, 정보보호 이슈가 주요 진입장벽이다. 카카오는 카카오톡 대규모 서비스 개편 전 개인정보·AI 기술의 윤리성·투명성을 강화하고, 플랫폼 서비스 연계 과정에서도 국내법에 준하는 통제 절차를 마련 중이다.

 

전문가들은 “카카오가 AI 슈퍼앱 전략을 성공적으로 안착시킨다면 국내 IT 플랫폼 시장의 경쟁 판도가 재편될 가능성도 있다”고 진단했다. 산업계는 이번 발표가 실제 시장 지배력과 달라붙을지를 예의 주시하고 있다.

오태희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카카오#챗gpt#카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