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AI 복붙 영상 차단”…유튜브, 수익 창출 정책 강화로 저품질 콘텐츠 제동
IT/바이오

“AI 복붙 영상 차단”…유튜브, 수익 창출 정책 강화로 저품질 콘텐츠 제동

김서준 기자
입력

AI 등 자동화 기술을 활용한 대량 복제 영상이 유튜브 생태계에 확산되면서 산업 내 콘텐츠 품질 논란이 커지고 있다. 유튜브가 오는 15일부터 유튜브 파트너 프로그램(YPP) 수익 창출 정책을 개편, 반복적이고 대량 생산된 저품질 영상에 대한 수익 지급을 제한하겠다고 밝히면서 크리에이터와 이용자, 나아가 행정기관까지 실질적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업계와 전문가들은 이번 정책 개정이 ‘플랫폼 자정능력’ 경쟁의 분기점이 될 수 있다고 해석한다.

 

유튜브는 최근 인공지능(AI) 기반 영상 자동생성 도구, 텍스트 음성변환(TTS) 기술 등을 활용한 이른바 ‘AI 슬롭’(AI Slop) 영상이나 인기 영상 짜깁기, 대량 반복 업로드 등 저품질 콘텐츠 확산이 플랫폼 신뢰도와 수익 분배구조 자체에 악영향을 준다는 이용자 지적이 계속되자 대응에 나섰다. 구체적 제한 기준은 15일 공개 예정이나, 단순 복제 및 임의 편집 영상, TTS만 활용한 영상, AI만을 이용해 제작된 무분별한 콘텐츠 등이 수익 제한 대상으로 거론된다. 유튜브는 "독창적이고 진정성 있는 콘텐츠가 우선"이라는 원칙을 재차 밝히며 "AI 도구를 창작성과 스토리텔링에 활용하는 방향은 오히려 권장하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기존 신작 영상 대비, AI 자동 대량 편집 영상은 제작 속도가 수십 배 이상 빠르지만, 사실관계 확인 및 정보 신뢰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꾸준히 제기돼 왔다. 예로 최근 ‘7월1일부터 시작된 36만원 정부지원금’ 등 제목의 AI 제작 영상이 단기간 수십 건 업로드돼, 실제와 다른 정보가 노년층 등 취약 계층 위주로 확산됐다. 이로 인해 일부 시청자가 주민센터 등 행정기관을 방문해 확인을 요구하며 사회적 비용까지 유발됐다.

 

유튜브 내부 인사도 “이번 업데이트는 시청자들이 흔히 스팸으로 여기는 반복·복제 영상을 명확히 걸러내기 위한 소규모 개정”이라며, “이미 해당 콘텐츠는 수익에서 제외돼 왔으나 판별력을 더욱 강화하는 취지”라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이번 정책 강화가 AI 기반 자동 생성 영상과 인간 크리에이터가 만든 독창적 콘텐츠의 경계를 명확히 하려는 조치로 받아들이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도 AI 영상 자동화 확산에 따른 ‘콘텐츠 저품질화’ 논쟁은 이어지고 있다. 미국, 유럽 등 주요국 역시 알고리즘 기반 자동 생성 영상의 신뢰성, 저작권 충돌, 허위정보로 인한 사회적 피해 문제에 대해 규제 논의를 가속화하는 분위기다. 유튜브 역시 AI가 프롬프트형 창작 보조로 쓰일 때는 허용하지만, 단순 복제성과 저품질 대량 업로드는 수익 제한 방침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수익 제한 기준에 대한 투명성 문제도 남아 있다. 반복 영상과 저품질의 구체적 기준과 이를 가리는 판단 주체(알고리즘·사람) 등에 대한 루브릭 공개가 필요하다는 업계 목소리가 있다. 플랫폼이 자체 AI나 내·외부 심사를 통해 모니터링·차단 수위를 결정하는 방식이 유력하다.

 

산업계는 반복·복제 영상 차단 정책이 AI 슬롭 등 단기 수익 목적 대량 영상의 확산 억제 효과로 이어질지 주목하고 있다. 한편, 기술 진화와 플랫폼 규제 사이의 균형, 이용자 미디어 리터러시 강화 등 병행책 마련이 새로운 성장 조건이 되고 있다.

김서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유튜브#ai슬롭#ypp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