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챗봇 대화 맞춤광고 도입”…메타, 미주 등 우선 적용에 글로벌 파장
현지시각 1일, 미국(USA) ‘메타플랫폼’(메타)이 12월 16일부터 자사 AI 챗봇과의 대화 내용을 기반으로 하는 맞춤형 광고 제공 방안을 공식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미국 등 주요 시장에서 우선 도입되며, 한국과 영국, 유럽연합(EU)은 초기 적용 대상에서 제외됐다. 글로벌 소셜미디어와 IT업계는 메타의 이 같은 타깃 광고 정책 변화를 주목하고 있다.
메타는 이용자가 챗봇과 나눈 등산·취미 등 관심사 관련 대화를 광고 타깃팅에 반영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등 메타 플랫폼에서는 이용자 성향에 맞춤화된 광고와 크리에이터 콘텐츠 노출이 강화된다. 챗봇 대화 정보는 별도 동의 절차나 이용 거부(opt-out) 옵션 없이 활용된다. 다만, 12월 16일 이전의 챗봇 대화 데이터는 이 방식에 사용되지 않는다.

한국·EU 등 초기 제외 지역에 대해 메타는 “현지 규제 요구와 심사 절차”를 감안했다고 설명했다. 자사 프라이버시 정책 매니저 크리스티 해리스는 “챗봇 대화는 광고 타깃팅 참고 신호 중 하나”라며 “첫 맞춤 광고 상품은 아직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메타는 향후 규제 당국과 협의를 거쳐 글로벌 적용을 확대하겠다는 방침을 내놨다.
이번 방침은 AI 기술, 특히 사용자의 행동·취향 데이터 활용을 통한 정밀 광고의 새로운 장을 열 것으로 평가받는다. 월간 이용자 수 10억 명이 넘는 메타 AI 챗봇은 최근 빠르게 성장하며, 사용자와 AI 간 상호작용이 서비스 혁신의 한 축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 같은 움직임은 개인정보 보호와 타깃 마케팅 간의 균형을 두고 국제 사회에서도 뜨거운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업계는 메타의 광고 사업 경쟁력 강화와 AI 투자 확대 효과를 기대하는 분위기다. 이에 반해 일부 권역과 시민사회 단체, 현지 규제 당국은 개인정보 처리 투명성, 동의 절차 부재에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 등 주요 외신은 “메타, 챗봇 기반 수익화 본격화 신호탄”이라며 글로벌 빅테크의 ‘데이터 활용 경쟁’이 가속화하는 국면이라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도입이 디지털 광고 산업의 패러다임을 크게 흔들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한편 메타는 시행 이후 시장과 규제기구 반응을 면밀히 관찰하며, 정책 조정과 추가 도입 지역 검토를 이어갈 전망이다. 이번 AI 챗봇 맞춤 광고 전략이 글로벌 개인 정보 규범과 온라인 서비스 질서에 어떠한 파장을 낳을지 관심이 쏠린다.